학술논문
텍스트마이닝을 통한 코로나19 이후 크루즈 관광 동향 탐색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Cruise Tourism Trends after COVID-19 Using Text Mining
- 발행기관
- 한국해양관광학회
- 저자명
- 한장헌(Jang-Heon Han)
- 간행물 정보
- 『해양관광연구』제17권 제4호, 213~226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Cruise tourism represents a dynamic and forward-looking segment of the tourism industry, aligning with future trends by offering the pleasure of travel through movement, in contrast to traditional, stationary forms of tourism. As an integrated tourism experience, cruises are designed to accommodate families of diverse age groups, combining comfortable relaxation with the cultural exploration of destinations. Moreover, cruise tourism contributes to the economic revitalization of ports of call and promotes sustainable practices through the adoption of eco-friendly ships and operations. This study employs text mining, an increasingly popular method in tourism research, to analyze data related to cruise tourism. The findings reveal the following:First, terms such as “travel,” “recommendation,” “hotel,” “reservation,” “Busan,” “schedule,” “tourist destination,” “course,” and “dinner show” emerged as the most frequently mentioned keywords. Second, a comparative analysis of degree centrality and closeness centrality revealed significant differences; keywords such as “reservation,” “schedule,” “tourist destination,” “product,” “visit,” “Korea,” “guide,” and “plan” demonstrated higher values in closeness centrality. Third, through CONCOR analysis, six distinct keyword clusters closely associated with cruise tourism were identified, highlighting the diverse and interconnected nature of this tourism sector. These findings provide valuable insights into the structural and thematic aspects of cruise tourism, offering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and practical applications in the industry.
영문 초록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방법
Ⅳ. 분석결과
Ⅴ. 결 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지속가능한 관광을 위한 DMO 정책에 대해서 - 일본 나가사키 사례
- 해양레저 특구사업 운영의 문제점과 해결방안
- 축제의 경험적 가치가 만족, 재방문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전복 양식장 체험적 요소에 따른 블루투어리즘의 활성화 방안 - 완도섬을 중심으로
- 문화이해와 친숙도가 관광참여의도와 관광행동에 미치는 영향연구 - 재한 MZ세대 중국인을 중심으로
- 외식전공 대학생의 직업가치관이 전공만족도와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텍스트 마이닝을 통한 해양레저관광 담론의 시대적 변화 분석
- 해안 관광 목적지 사회적 책임과 환경책임행동의 영향 관계 - 확장된 계획행동이론 적용
- 텍스트마이닝을 통한 코로나19 이후 크루즈 관광 동향 탐색 연구
- 대학의 비교과 활동 프로그램을 통한 대학생활적응이 학습성과 및 직업탐색활동에 미치는 영향 - 충남소재 4년제 N대학의 재학생을 중심으로
- 제주지역 무사증제도의 정책변동 분석: 다중흐름모형을 적용
- 문화관광해설사 교육기관의 교육훈련이 직무만족 및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충청남도를 중심으로
- 해양치유자원으로서 해조류의 지속가능 가치에 관한 연구
- 근거이론분석을 이용한 관광산업 여성종사원의 직업적응과정에 대한 연구 - 경력단절 후 재취업에 성공한 종사원을 중심으로
- 카이트 보딩 국제대회의 서비스 품질과 만족 및 충성도에 관한 연구 - 2023~2024년 대회 참가자 대상으로
- 축제 방문객의 휴리스틱 행동이 축제만족도와 축제신뢰에 미치는 영향 연구 - 2023 기지시 줄다리기 축제방문객을 중심으로
- 한국인의 크루즈여행 제약 영향요인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BEST
- 항공기업 ESG 경영활동의 일관성, 적합성, 진정성이 브랜드 태도,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연구
- MBTI 성격유형에 따른 소비가치, 관광활동 및 음식관광활동의 차이
- 유튜브 관광 콘텐츠 및 유튜버 속성이 관광지 이미지 및 행동의도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 > 관광학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