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 인권센터 조사과정에서피조사자의 절차적 권리에 대한 검토: 헌법상 적법절차원칙을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A Review on the Procedural Rights of the Person under Investigation in the University Human Rights Center's Investigation Process: Focusing on the Due Process of Law under the Constitution of Korea
- 발행기관
- 대한교육법학회
- 저자명
- 김종일(Jong-Il Kim) 서영진(Young-Jin Seo)
- 간행물 정보
- 『1. 교육법학연구』제36권 제3호, 117~143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대학 인권센터의 조사와 판단은 시간이 지날수록 사법기관의 실체적 진실에 대한 수사 형태로 변화해 가는 ‘인권센터의 사법기관화’에 직면해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시점에서 대학 인권센터의 조사과정이 실체적 진실 발견과 증명에 치우쳐, 오히려 소홀해질 수는 피조사자의 방어권 및 절차적 권리에 초점을 맞추었다. 대학 인권센터는 대학 구성원의 기본적 인권을 보호하고 인권감수성을 제고함으로써 인간으로서의 존엄과 가치를 구현하는 연성적인 인권기구의 역할을 한다. 하지만, 인권센터의 조사와 결정이 때로는 피조사자의 명예 및 인격권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징계를 통해 신분이 박탈될 수도 있어, 피조사자의 방어권 및 절차권이 보장될 필요가 있음을 간과할 수 없다. 이에 본 논문은 특히 인권센터의 조사과정에서 피조사자가 갖는 소명 기회 및 방어권은 헌법 제21조에서 도출되는 ‘알 권리’로 보장될 필요가 있으며, 나아가 국·공립대학교가 아닌 사립대학교 인권센터의 조사과정도 국가작용으로 간주할 수 있어 적법절차원칙이 동일하게 적용되어야 함을 헌법상 적법절차 원리를 통해 검증하였다.
영문 초록
Recently, investigations and judgments by university human rights centers are increasingly shifting toward the form of fact-finding investigations typically conducted by judicial institutions, facing what can be described as the ‘judicialization” of human rights center’. This paper focuses on the procedural and defensive rights of the person under investigation, as the university human rights center’s investigation process becomes oriented toward uncovering and proving substantive truths.
University human rights center serves a soft role in protecting the fundamental human rights of university members and promoting human rights sensitivity, thereby embodying human dignity and values. However, since the center's investigations and decisions can sometimes impact the reputation and personal rights of the person under investigation, leading to disciplinary actions that may affect their status, the guarantee of the procedural and defensive rights of those investigated must not be overlooked.
This paper argues that, particularly in the investigation process of the human rights center, the right of the person under investigation to have a fair opportunity to explain their position and defend themselves should be guaranteed as a ‘right to know’ derived from article 21 of the constitution. Furthermore, it verifies, through the due process of law under the constitution, that the investigation process in private university human rights centers, like those of national and public universities, can also be regarded as a national function, thereby requiring that the same principles of due process of law be applied.
If the defensive rights of the investigated are guaranteed and a fair opportunity to explain is provided from the very first stage of the university human rights center’s investigation, it is expected that the person under investigation will more readily accept and trust the decisions made by the university human rights center’s investigation and deliberation committee.
목차
Ⅰ. 서론
Ⅱ. 헌법상 적법절차원칙
Ⅲ. 대학 인권센터 조사·심의 절차: 피조사자의 절차적 권리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부모 교육과 학교참여에 관한 법령 분석과 입법 방안 연구
- 특별자치도의 교육분야 특례 제도 분석
- 초중고교 교원의 교권 판례 비교 분석
- 독일의 학부모 학교 참여 법제 분석
- 늘봄학교 법제화를 위한 법안 비교 분석 - 초등돌봄 정책 관련 법제화 동향을 중심으로
- 학교장의 자체해결제도와 전담기구에 대한 현황과 입법과제
- 대학 인권센터 조사과정에서피조사자의 절차적 권리에 대한 검토: 헌법상 적법절차원칙을 중심으로
- 초·중등학교 교원의 생활지도권의 쟁점과 개선 방안
- AI 디지털교과서의 법적ㆍ정책적 쟁점과 과제 분석
- 사립학교법상 대학평의원회 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구조주의와 수학교육
- 수학 교과서에서 사용되는 기호 표현과 공학 도구 입력 방식의 상이성에 대한 연구: 각, 호, 부채꼴을 중심으로
- 수학교육연구에서 물질성의 이중적 지위와 실천적 함의 - 신유물론 관점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