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학교장의 자체해결제도와 전담기구에 대한 현황과 입법과제
이용수 0
- 영문명
- Current Status and Legislative Tasks of School Principal's Autonomous Resolution System and Dedicated Organization
- 발행기관
- 대한교육법학회
- 저자명
- 김갑석(GAB SEOK GIM)
- 간행물 정보
- 『1. 교육법학연구』제36권 제3호, 51~68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학교폭력은 정부가 오랜기간동안 해결을 위해 노력해 왔음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학교폭력이 해결되지 않고 있다. 학교폭력이 해결이 쉽지 않은 것도 이유겠지만 해결의 방향이 문제일 수도 있다. 법적, 행정적 처리가 아닌 교육적 해결의 방법으로 방향을 설정할 필요가 있다. 학교폭력은 일반적으로 학생들에게 발생되고, 가해학생이 가해행위를 멈추었을 때 학교폭력은 해결될 수 있다. 이를 위한 제일 좋은 방법은 바로 교육이다. 이에 학교폭력 문제는 교육적으로 해결해야 한다. 현행법상 이러한 교육적 해결방법 중에 하나가 바로 학교장의 자체해결이다. 본 연구는 학교폭력 문제를 교육적 방법으로 해결하고자 하는 측면에서 학교장의 자체해결제도와 전담기구에 대한 현황과 입법과제를 살펴보고자 한다.
영문 초록
School violence has yet to be resolved, despite the government's long-standing efforts to resolve the problem of school violence. The reason why school violence is not easy to solve may be the reason, but the direction of solution may be the problem. It is necessary to set the direction as a method of educational solution rather than legal and administrative treatment. School violence generally occurs to students, and school violence can be resolved when the perpetrator stops committing the offense. The best way to do this is through education. Therefore, the problem of school violence must be solved educationally. Under the current law, one of these educational solutions is the Principal's Autonomous Resolution. In order to solve the problem of school violence in an educational way,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and legislative tasks of the Autonomous Resolution System and dedicated organization.
목차
Ⅰ. 문제제기
Ⅱ. 학교장의 자체해결제도와 전담기구에 대한 현황
Ⅲ. 학교장의 자체해결제도와 전담기구에 대한 문제점과 입법과제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학부모 교육과 학교참여에 관한 법령 분석과 입법 방안 연구
- 특별자치도의 교육분야 특례 제도 분석
- 초중고교 교원의 교권 판례 비교 분석
- 독일의 학부모 학교 참여 법제 분석
- 늘봄학교 법제화를 위한 법안 비교 분석 - 초등돌봄 정책 관련 법제화 동향을 중심으로
- 학교장의 자체해결제도와 전담기구에 대한 현황과 입법과제
- 대학 인권센터 조사과정에서피조사자의 절차적 권리에 대한 검토: 헌법상 적법절차원칙을 중심으로
- 초·중등학교 교원의 생활지도권의 쟁점과 개선 방안
- AI 디지털교과서의 법적ㆍ정책적 쟁점과 과제 분석
- 사립학교법상 대학평의원회 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교육학분야 NEW
- 구조주의와 수학교육
- 수학 교과서에서 사용되는 기호 표현과 공학 도구 입력 방식의 상이성에 대한 연구: 각, 호, 부채꼴을 중심으로
- 수학교육연구에서 물질성의 이중적 지위와 실천적 함의 - 신유물론 관점을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