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급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다큐멘터리 활용 토론 수업 모형 개발
이용수 0
- 영문명
- Development of a Discussion Instructional Model Using Documentaries for Advanced Academic Purpose Learners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 K-컬처·스토리콘텐츠연구소
- 저자명
- 한윤정(Yun-Jung Han)
- 간행물 정보
- 『스토리콘텐츠』6집, 145~168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1.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고급 학문 목적 학습자 대상 한국어 토론 수업에서 다큐멘터리를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수업 모형을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둔다. 다큐멘터리는 복합적이고 다각적인 관점으로 사고하고 논의해야 하는 학문 목적 학습자들에게 매우 좋은 콘텐츠이며 특히 한국어로 자신의 의견을 종합적으로 표현해야 하는 토론 수업에서 좋은 교보재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기존 연구에서 중점적으로 다루지 못한 다큐멘터리의 장르적 특성을 구체적으로 살펴 한국어 토론 수업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다큐멘터리 활용 수업과 토론수업에 관한 기존 연구를 살폈다. 그리고 ‘사실의 재현성’, ‘내러티브’ 등과 같은 다큐멘터리의 장르적 특성을 키워드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또한 다큐멘터리의 분류 및 빌니콜스의 다큐멘터리 양식 분류를 살펴 한국어 토론 수업과의 연계 방안을 도출하였다. 수업 모형은 수업 목표, 학습자, 수업 환경 변인을 먼저 검토하고 이에 따라 적절히 선택할 수 있도록 모듈형으로 제시하였다. 의사소통 중심 모듈, 지식 중심 모듈, 수행 중심 모듈은 각 상황에 맞게 다큐멘터리 활용 토론 수업에서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develop a instructional model that can effectively utilize documentaries in Korean language discussion classes for advanced academic learners. Documentaries are excellent content for academic learners who need to think and discuss from complex and multifaceted perspectives, and can be used as a good educational materials in discussion classes where they need to comprehensively express their opinions in Korean. Therefore, this study specifically examined the genre characteristics of documentaries that were not focused on in previous studies and attempted to develop a Korean language discussion instructional model. To this end, the study first examined existing studies on documentary utilization classes and discussion classes. Then, the genre characteristics of documentaries were examined based on keywords. In addition, the classification of documentaries and Bill Nichols’ modes of documentary were examined. The instructional model was presented in a modular form so that it could be selected appropriately after first examining the class objectives, learners, and class environment variables.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및 이론적 배경
Ⅲ. 다큐멘터리의 장르적 특성 및 양식 분류
Ⅳ. 다큐멘터리를 활용한 한국어 토론 수업 모형 개발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스토리콘텐츠 6집 목차
- 한국 오컬트 드라마 속 자아의 분열과 저항적 주체의 형성 : SBS 드라마 〈악귀〉의 경우
- 문화인류학의 관점에서 바라본 SF 장르의 몇 가지 논점에 관하여 : 문화적 유사성, 문화유물론, 유토피아를 중심으로
- 인공생명과 인간의 윤리 : SF소설 『AI 몸피로봇, 로댕』, 『인간의 법정』,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을 중심으로
- 포스트아포칼립스 속 셸터(shelter)와 집합적 경험으로서 정동 : <콘크리트 유토피아>를 중심으로
- 롱테이크의 미학적 기능 연구 : <프리다의 그해 여름>을 중심으로
- <트랜짓>의 물질적 공간은 어떻게 베르그손의 ‘지속(durée)’을 성취하는가? : 시네마의 매체성과 관객의 지각작용에 관한 소고
- 한국어의 보조사 ‘들’에 대한 연구 :구어말뭉치에 나타난 복수표지 항목 중심으로
- 한흑구 작품에 나타난 미국 흑인문학 수용 양상
- 고급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다큐멘터리 활용 토론 수업 모형 개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NEW
- 스토리콘텐츠 6집 목차
- 한국 오컬트 드라마 속 자아의 분열과 저항적 주체의 형성 : SBS 드라마 〈악귀〉의 경우
- 문화인류학의 관점에서 바라본 SF 장르의 몇 가지 논점에 관하여 : 문화적 유사성, 문화유물론, 유토피아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