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문화인류학의 관점에서 바라본 SF 장르의 몇 가지 논점에 관하여 : 문화적 유사성, 문화유물론, 유토피아를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Some remarks on SF from a cultural anthropology perspective : focusing on cultural similarity, cultural materialism, and utopia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 K-컬처·스토리콘텐츠연구소
- 저자명
- 지승학(Seung-Hak Chi)
- 간행물 정보
- 『스토리콘텐츠』6집, 9~27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5.01.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인류학 이론의 발생에 따른 시대적 학문적 혼란의 과정과 결과를 SF 장르의 특징적 지표로 삼아 분석한다. 문화적 유사성과 문화 유물론 그리고 실증주의는 이에 가장 대표적인 지표다. 초기 SF 문학 장르는 거의 모든 미지의 장소나 고립된 섬들을 그럴듯한 소재로 삼아왔다. 이러한 경향은 실증주의 이데올로기가 존재하지 않았던 상상적 공간에서 발생했다. 하지만 실증주의의 부산물, 즉 문화 유물론과 자본주의 시스템은 인간적인 상상력에 급진적인 인식론적 단절을 가져온바, 인간의 유비적 상상의 장소는 곧 건조한 격자식 공간으로 돌변하게 된다. 여기에 인류학 전개과정에서 탄생한 실증주의 이데올로기는 자본주의적 관행에 따라 정확히 구분되고 수량화할 수 있는 경직된 시간표, 즉 시간이 공간이 되는 이미지를 완성한다. 다시 말해 모어의 유토피아와 그것이 있어야 할 해안에는 자본적 시간의 무한한 바다가 자리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SF 장르는 우리의 역사적 시대와 그 안에 함축되어있는 인식적 이데올로기와 소외적 이데올로기를 병합하여 대안 현실을 제시함으로써 매우 경험적인 미래학적 지표를 제공한다. 이때 등장하는 새로움은 때로는 직접적으로, 때로는 매우 복잡한 방식으로 우리의 역사적 균열, 인식론적 단절, 최종적으로는 인간관계에서의 질적 불연속성, 그 균열의 지점을 틈타 나타난다. SF 장르의 이러한 특징은 항상 우리의 현실을 정조준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nalyzes the process and outcome of the scholarly disruption of the anthropological theories of the epoch as an indicator of the characterization of the SF genre. Cultural similarity, cultural materialism, and positivism are the most appropriate theories for this purpose. This attempt is significant in that this article criticizes the limited and fragmented treatment of SF which has not escaped the literary critical approach as well as re-emphasizes the socio-cultural value of the genre. Early SF genres have used almost all unknown places or isolated islands as plausible sites. This tendency occurred in an imaginative space where positivist ideology did not exist. In fact, the byproducts of positivism, cultural materialism and the capitalist system, have brought about a radical epistemological break with the human imagination, so that the places of the human figurative imagination have become dry, grid-like spaces. The positivist ideology born out of the development of anthropology completes the image of time becoming space, a rigid timetable that can be precisely delimited and quantified according to capitalist practices. In other words, Moore's utopia, and its coast, becomes the infinite ocean of capitalist time. Thus, SF makes our historical era and the ideology of the epoch implicit within it into highly empirical futuristic indicators of an alternative reality. The Novum is created through our historical ruptures, epistemological disconnections, and finally qualitative discontinuities in human relationships, sometimes directly, sometimes very complicatedly. This characteristic of the SF genre is always aimed at our reality.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을 대신하여: 실증주의와 자본주의 이야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스토리콘텐츠 6집 목차
- 한국 오컬트 드라마 속 자아의 분열과 저항적 주체의 형성 : SBS 드라마 〈악귀〉의 경우
- 문화인류학의 관점에서 바라본 SF 장르의 몇 가지 논점에 관하여 : 문화적 유사성, 문화유물론, 유토피아를 중심으로
- 인공생명과 인간의 윤리 : SF소설 『AI 몸피로봇, 로댕』, 『인간의 법정』, 『우리가 빛의 속도로 갈 수 없다면』을 중심으로
- 포스트아포칼립스 속 셸터(shelter)와 집합적 경험으로서 정동 : <콘크리트 유토피아>를 중심으로
- 롱테이크의 미학적 기능 연구 : <프리다의 그해 여름>을 중심으로
- <트랜짓>의 물질적 공간은 어떻게 베르그손의 ‘지속(durée)’을 성취하는가? : 시네마의 매체성과 관객의 지각작용에 관한 소고
- 한국어의 보조사 ‘들’에 대한 연구 :구어말뭉치에 나타난 복수표지 항목 중심으로
- 한흑구 작품에 나타난 미국 흑인문학 수용 양상
- 고급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다큐멘터리 활용 토론 수업 모형 개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NEW
- 스토리콘텐츠 6집 목차
- 한국 오컬트 드라마 속 자아의 분열과 저항적 주체의 형성 : SBS 드라마 〈악귀〉의 경우
- 문화인류학의 관점에서 바라본 SF 장르의 몇 가지 논점에 관하여 : 문화적 유사성, 문화유물론, 유토피아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