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롱테이크의 미학적 기능 연구 : <프리다의 그해 여름>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A Study on the Aesthetic Function of Long Takes : Focusing on Estiu 1993
발행기관
경희대학교 K-컬처·스토리콘텐츠연구소
저자명
정새별(Sae-Byeol Jeong)
간행물 정보
『스토리콘텐츠』6집, 93~105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1.30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영화 <프리다의 그해 여름>(2017)이 롱테이크를 활용해 현실의 객관성과 주관성을 동시에 보존하는 방식을 살펴본다. 이로써 대사나 서사 편집보다 이미지로 대상의 의미와 심리를 설득시키는 영화의 미학적 성취를 확인한다. 나아가, 롱테이크가 몽타주와 대립하는 연출 요소가 아닌 미장센과 몽타주의 변증적 매개체임을 예증한다. 결과적으로 이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 첫째, <프리다의 그해 여름>의 롱테이크는 인물들의 불투명한 심리와 복잡한 관계에 대해 관객들이 끊임없이 사유하게 만든다. 특히 핸드헬드와 리프레이밍을 동반하는 롱테이크는 공간적 현실 속에서 주관적 심리를 발견할 수 있도록 독려한다. 둘째, 롱테이크를 통해 자생적인 힘을 갖게 되는 쇼트들은 몽타주를 통해 자신의 모호성과 다층성을 더 확장할 수 있다. 나아가, 몽타주에도 사라지지 않고 관객의 사유체계 속에 남아 또 다시 다른 쇼트와 몽타주될 가능성을 확보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amines how the film Estiu 1993(2017) simultaneously preserves the objectivity and subjectivity of reality using long takes. Through this process, I confirm the aesthetic achievement of the film that persuades the meaning and psychology of the object through images rather than dialogue or editing that rely on narrative. Furthermore, I demonstrates that the long take is not the element that is opposed to montage, but is dialectical media of mise-en-scene and montage. Consequently, I was able to verify the following through this study. Firstly, long takes of “Frida's Summer” make the audience constantly think about the uncertain psychology and complex relationship of the characters. In particular, long takes accompanied by handheld and refraiming encourages the discovery of subjective psychology in spatial reality. Secondly, shorts that have self-sustaining power through the long take can further expand their ambiguity and multi-layeredness through montage. Furthermore, they do not disappear after the montage but remain in the audience's mind, securing the possibility of montage with another shot.

목차

Ⅰ. 서론
Ⅱ. 시공간의 흐름 속에 보존되는 주관적 심리
Ⅲ. 변증적으로 매개되는 미장센과 몽타주
Ⅳ. 자생하는 쇼트들의 재몽타주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새별(Sae-Byeol Jeong). (2025).롱테이크의 미학적 기능 연구 : <프리다의 그해 여름>을 중심으로. 스토리콘텐츠, (), 93-105

MLA

정새별(Sae-Byeol Jeong). "롱테이크의 미학적 기능 연구 : <프리다의 그해 여름>을 중심으로." 스토리콘텐츠, (2025): 93-10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