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 오컬트 드라마 속 자아의 분열과 저항적 주체의 형성 : SBS 드라마 〈악귀〉의 경우

이용수 0

영문명
Self-Division and the Formation of a Resistant Subject in the Korean Occult Drama : The Case of SBS Drama Revenant
발행기관
경희대학교 K-컬처·스토리콘텐츠연구소
저자명
이인(In Lee)
간행물 정보
『스토리콘텐츠』6집, 49~71쪽, 전체 23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5.01.30
5,5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논문은 〈악귀〉의 서사적 구조에서 나타나는 자아의 분열 양상을 탐구하면서, 구산영이라는 개인이 빙의를 거쳐 악에 저항하는 주체로 전환되는 과정을 탐구한다. 홍성민의 논의에 따르면 주체는 이데올로기와 교호하는 과정에서 상징 체계를 통해 자아를 구성하는데, 주체가 현실을 대하는 태도를 전환시키는 계기는 감정구조의 동역학에 의하여 구성된다. 주인공 구산영은 현실의 다양한 이데올로기에 맞는 자아를 구축하는 과정에서 분열된 상태에 놓여있다. 이 분열은 현실의 금기를 위반하면서 자신을 보호하고자 하는 자기 보존의 욕동과, 현실의 원리를 존중하도록 강제하는 이데올로기의 구성물로서 초자아로 나뉜다. 작품 내에서 현시되는 한국의 이데올로기는 생존 이데올로기와 도덕 이데올로기로 나뉘어 있으며, 생존 이데올로기에서 발현되는 자기보존적 욕동은 살해라는 극단적 방식으로 생존에 필요한 목적을 달성한다. 악귀이향이는 생존 이데올로기에 의해 파생된 자기 보호와 생존의지의 폭력적 분출로, 금지된 향유를 즐기는 존재이다. 한편 나병희는 생존 이데올로기의 배후에서 그 규칙을 조정하고 통제하는 생존 이데올로기의 표상이다. 나병희는 이향이와의 거래를 통해 자신의 방해자를 섬멸한다. 구산영은 빙의를 통해 태자귀 제조 사건을 추체험하고, 생존 이데올로기가 강요하는 폭력성을 목도하고 그를 축사(逐邪)하는 저항적 주체로 거듭난다. 이 저항은 이향이의 폭력적인 욕동을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이데올로기의 강요에서 벗어나 스스로 균형을 찾고 자신의 주체성을 회복하고자 하는 움직임으로 나타난다. 이 저항은 여전히 이데올로기의 자장 안에 놓여있다는 점에서 분명한 한계가 존재하며, 드라마의 플롯이 다소 부실한 것은, 드라마의 주제가 관통하는 자기 분열의 양상이 실상 영속적인 것이기 때문이다. 〈악귀〉에서는 그 자기 분열 양상 속에서 실명(失明)이라는 대가를 감내하고라도 살아나가겠다는 의지를 다진다는 점에서 저항적 주체로서의 가능성을 엿볼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paper explores the patterns of self-division in the narrative structure of Revenant, focusing on the transformation of San-young Koo into a resistant subject through possession. According to Seong-min Hong, subjects construct their selfhood through the symbolic system in interaction with ideology, and their attitude toward reality is shifted by the dynamics of affective structures. The protagonist, San-young, experiences a divided state while constructing an identity aligned with various ideologies of reality. This division is manifested in two opposing drives: the drive for self-preservation, which seeks to protect oneself by violating societal taboos, and the superego, which enforces compliance with the principles of reality dictated by ideology. The ideologies represented in the drama are divided into survival ideology and moral ideology. The self-preservative drive achieves its goals for capitalist survival through extreme means, such as murder. The evil spirit, Hyang-yi Lee, is a violent eruption of the will to survive derived from survival ideology. As a figure enjoying forbidden jouissance, Hyang-yi is an inverted manifestation of survival ideology, created through Byung-hee Na's taejagwi. Byung-hee represents the control and regulation of survival ideology and is portrayed as a villain who uses Hyang-yi to eliminate her obstacles through malevolent bargains. Through possession, San-young relives the events of the cursed amulet's creation, witnesses the violence enforced by survival ideology, and transforms into a resistant subject seeking to exorcize the spirit. This resistance does not aim to eliminate Hyang-yi's violent drive but to break free from the coercion of ideology, restore balance, and reclaim her subjectivity. However, this resistance remains within the influence of ideology, which highlights its inherent limitations. The somewhat fragmented plot of the drama reflects the persistent nature of self-division, which the narrative ultimately fails to resolve. Nevertheless, Revenant suggests the possibility of San-young's emergence as a resistant subject, demonstrated by her resolve to live on despite the cost of blindness.

목차

Ⅰ. 서론
Ⅱ. 일상에서 겪는 주체의 분열과 실재의 귀환
Ⅲ. 저항적 주체의 등장과 필연적 한계성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인(In Lee). (2025).한국 오컬트 드라마 속 자아의 분열과 저항적 주체의 형성 : SBS 드라마 〈악귀〉의 경우. 스토리콘텐츠, (), 49-71

MLA

이인(In Lee). "한국 오컬트 드라마 속 자아의 분열과 저항적 주체의 형성 : SBS 드라마 〈악귀〉의 경우." 스토리콘텐츠, (2025): 49-7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