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전후의 시차(時差/視差)➀: 전쟁을 아로새기지 않기 - 윤흥길의 전쟁기억소설을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Time Difference of Postwar: Not Engraving War : Based on Yoon Heung-gil's works
- 발행기관
- 이상문학회
- 저자명
- 이영서(Young-seo Lee)
- 간행물 정보
- 『이상리뷰』22호, 217~257쪽, 전체 4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7,7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고의 목적은 1970년대 윤흥길의 ‘한국전쟁’ 관련 작품을 분석함으로써, 그가 시도한 ‘전쟁을 아로새기지 않기’의 창작방법론을 규명하고 계보화하는 것이다. 1970년대는 국가권력이 정치적 담론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기 위해 전쟁기억을 강력하게 동원했던 시기로, 그 방법은 관찬에 의한 국사를 교육함으로써 전쟁기억을 정치적으로 활용하기 쉬운 트라우마의 형태로 고정하는 것이었다. 이에 윤흥길은 관찬의 문법을 비트는 사찬의 역사 서술을 통해, 전쟁 속 타자의 아픔을 트라우마로 고정하지 않으면서도 기억으로서 나눠 가질 수 있는 방법론을 고민했다.
윤흥길이 시도했던 사찬의 창작방법론은 크게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는 ‘사관으로서의 아이-주체’를 서술자로 내세워 기억의 바람직한 주체를 정초한 것이다. 아이임에도 불구하고 사관으로서의 책임감을 가지고 있지만, 동시에 아이다운 무지도 함께 가지고 있는 이 주체는, 사건을 객관적으로 기록·전달하되 최종적인 의미화를 하지 않음으로써 타자의 기억을 분유할 수 있는 주체적 태도를 확립한다. 두 번째는 정사와 반대되는 ‘야사의 문법’을 통해, 현실 규범에 따른 인과관계가 만들어내는 역사적 교훈을 탈구축하는 것이다. 미신이나 광기 등의 야사의 장치는 현실 규범을 매개하지 않고도 서사적 핍진성을 확보하는 기능을 하며, 이렇게 만들어진 서사는 교훈을 형성하지 않고도 기록되고 전이될 수 있는 기억의 가능태가 된다. 세 번째는 ‘틀린 이름 짓기’를 통해 이 가능태에 이름을 부여하면서도, 그것을 고정하지 않는 방법이다. 의도적이면서도 명증하게 틀린 이름은 오로지 명사의 지시적 기능만을 수행하게 되며, 이에 따라 독자들은 역사적 명명이 내포하는 특정한 정치성에 구속받지 않으면서도 타자의 기억을 현실태로서 감지하고 인식할 수 있게 된다.
1970년대 윤흥길이 시도했던 기억하되 아로새기지 않기의 방법론은 기억동원이라는 당대적 상황에 대한 소설가로서의 책임감과 더불어, 한국전쟁으로부터 20년의 시차가 있었기에 가능한 것이었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당대의 유사한 문학적 기획들을 ‘전쟁기억소설’로 범주화하는 작업의 필요성을 제안하고자 하며, ‘사이비사관’을 자처했던 윤흥길의 계보는 그 출발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작업은 작게는 역사와 기억의 문제에 있어 문학의 역할을 재검토 하는 일이며, 크게는 전쟁에 기여하지 않는 전쟁기억의 바람직한 방향성을 가늠하는 일이기도 하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amine the works of Yoon Heung-gil related to the Korean War from the 1970s, and to identify and trace his creative methodology of “not engraving war” through them. The 1970s were an era in which state-power strongly made use of the memory of war in order to gain the upper hand in the competition of political discourse. This was carried out by enforcing the teaching of a national-history that was filtered, “compiled by the government”, and by doing this the state-power stabilized the memory of war as a trauma that could easily be used politically. In response, Yoon Heung-gil pondered a mechanism that, by defying “government compiled” history through a “personally compiled” one, would allow the pain of war of the “other” to be shared in the form of memory, while not defining it solely as trauma.
Yoon Heung-gil’s method of “personal compilation” of history can be divided into three major approaches. The first is to establish a “historian child-subject,” who, despite being a child, possesses the responsibility of a historian while also retaining the innocence of a child. This subject objectively records and conveys historical events but refrains from drawing final conclusions out of them, thus establishing a subjective attitude capable of “sharing” the memories of the “other”. The second is to deconstruct the historical lessons created by cause-and-effect relationships established on realistic norms through “the mechanism of unofficial history” that opposes official history. Devices of unofficial history, such as superstition or madness, allow narrative verisimilitude without the mediaton of realistic norms, and thus, the created narrative becomes a potential form of memory that can be recorded and transferred without forming a specific lesson. The third approach is the method of “naming incorrectly,” which, while giving a name to this potential form of memory, avoids fixing it into a given form. Deliberately and clearly incorrect names function only as a nominal reference, allowing readers to perceive and recognize the memory of the other without being bound by the specific politics implied by historical names.
This mechanism of remembering but not engraving that Yoon Heung-gil attempted in the 1970s was possible because of his sense of responsibility as a writer in the light of the government’s use of the memory of war, and because 20 years had passed since the Korean War. Therefore, this paper proposes the necessity of categorizing similar literary projects of the time as “war memory novels,” with Yoon Heung-gil potentially serving as a starting point. This task involves a reexamination of the role of literature in the issues of history and memory, and more broadly, an attempt to assess a desirable direction of the memory of war that does not contribute to war.
목차
1. 전쟁을 아로새기지 않기
2. 사관으로서의 아이-주체
3. 야사의 문법
4. 틀린 이름 짓기
5. 결론: 사이비의 가능성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이상리뷰 22호 목차
- 전후의 시차(時差/視差)➀: 전쟁을 아로새기지 않기 - 윤흥길의 전쟁기억소설을 중심으로
- 1930년대 근대시와 이상 - 김기림·김용직 이상론 재고찰을 중심으로
- 이상의 「가외가전」과 파시즘 비판
- 조연현 소장 '일문 노트 유고'의 저자 규명 및 그 의미
- 이청준의 「가위 밑 그림의 음화와 양화 1」 속 숨은 얼굴 찾기
- 윤동주 시의 운율교육 방안 연구 -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및 교과서를 중심으로
- 김광균 시의 프레임과 심리적 피정
- 백석 시의 공간 의식 연구
- ‘통일’ 주제 남북한 현대시 코퍼스 연구 1 - 연구방법론과 빈도수 분석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문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문학분야 NEW
- 문헌과 해석 통권 제96호 목차
- [추사 시 속의 시인 2] 황혼의 시대 가을 시인 유산(酉山) 정학연(丁學淵)
- [추사 시 속의 시인 2] 남양주 수동면(水洞面) 만취대(晩翠臺) 유람기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