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승선 중 선원의 인터넷 커뮤니케이션이 선원 직업 유지 의도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0
- 영문명
- Impact of Internet Communication Onboard on Intention to Remain a Seafarer
- 발행기관
- 한국항해항만학회
- 저자명
- 박유진(You-Jin Park) 정유진(Yu-Jin Jeong) 이윤형(Yun-Hyung Lee) 류기탁(Ki-Tak Ryu) 안종갑(Jong-Kap Ahn)
- 간행물 정보
- 『한국항해항만학회지』제48권 제6호, 615~624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공학 > 해양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최근 해상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은 승선 중인 선원이 가정과 사회와 연결될 수 있는 기회를 증대시키고 있다. 이에 따라 인터넷을 통해 승선 중 선원이 육상과 연결을 유지하는 것에 대한 필요성과 중요성이 다수의 연구와 조사를 통해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승선 중 육상과의 연결을 위한 인터넷 커뮤니케이션과 선원 직업 유지 의도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또한, 인터넷 커뮤니케이션과 선원 직업 유지 의도 사이에서 온라인 사회적 자본의 매개 역할을 살펴본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승선 중 인터넷 커뮤니케이션, 선원의 온라인 결속형 사회적 자본, 선원의 온라인 교량형 사회적 자본, 선원 직업 유지 의도를 주요 변수로 사용하고, 결혼 여부, 직급, 나이, 월 평균 수입을 통제 변수로 하는 연구 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다. 실증 분석은 상선 선원을 대상으로 진행하였고, 분석 결과 승선 중 인터넷 커뮤니케이션은 선원의 온라인 결속형 사회적 자본과 온라인 교량형 사회적 자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승선 중 인터넷 커뮤니케이션과 선원의 온라인 사회적 자본이 선원 직업 유지 의도에 미치는 영향은 확인되지 않았으며, 인터넷 커뮤니케이션과 선원 직업 유지 의도 사이에서 온라인 사회적 자본의 매개 역할도 발견되지 않았다. 반면, 월 평균 수입과 직급은 선원 직업 유지 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Recent advancements in maritim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have significantly enhanced opportunities for seafarers to maintain connections with their families and social networks while onboard. A growing body of literature has highlighted the critical importance of maintaining such shore-based connections via the Internet during voyages. This study aimed to empirically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et communication for shore connectivity during voyages and seafarers’ intentions to remain in their professional careers. Another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ediating role of online social capital in this relationship. To address these aims, this study identified key variables, including internet communication onboard, seafarers’ bonding and bridging online social capital, and intentions to remain a seafarer. Additionally, control variables such as marital status, rank, age, and average monthly income were integrated into the research framework and hypotheses.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data collected from merchant seafarers. Findings revealed that internet communication onboard had a positive influence on seafarers’ bonding and bridging forms of online social capital. However, the direct impact of internet communication onboard and online social capital on the intention to remain a seafarer was not substantiated. The mediating role of online social capital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net communication onboard and the intention to remain a seafarer was not observed either. In contrast, average monthly income and rank were found to exert significant influence on intention to remain a seafarer.
목차
1. 서 론
2. 관련 연구
3. 연구의 설계
4. 분석 결과
5. 결 론
후 기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내 크루즈 관광객의 선택속성에 대한 중요도-만족도 분석 : 목포-제주 관광객을 중심으로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48권 제6호 목차
- 선박 자동조타시스템의 사용성 향상과 상용화를 위한 해상 실증 연구
- 해상 무선 통신에서 결정 피드백을 이용한 시퀀스 등화 방법에 대한 연구
- 제한수역에서 대각도 변침으로 계획항로를 추종하기 위한 선회율에 관한 연구
- 항만도시 수변공간의 소프트 인프라 계획에 관한 연구 - 부산남항 수변공간을 대상으로
- 자동화 컨테이너터미널 안벽 크레인의 AGV 작업 차선 할당에 관한 연구
- 부산항 화물자동차 휴게소 운영 효율성 분석
- 그린포트 조성에 따른 항만 배후지역의 리버빌리티 향상에 관한 연구
- 승선 중 선원의 인터넷 커뮤니케이션이 선원 직업 유지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선박 복원성 판단을 위한 선회구간 횡요각 예측 모델
- 스마트 항로표지에서의 AIS-ASM 기반 환경 정보 제공을 위한 표준화 방안
- 완성차 판매물류종사자의 중대재해처벌법에 대한 인식수준이 안전의식과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100MW급 해상풍력발전단지의 최적 배치에 관한 연구
- 글로벌 공급망 압력이 Sea&Air 물동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자율운항선박 지원을 위한 실시간 관측 기반의 해양환경 인공지능 예측 기술 검증
- 리스회계기준 개정이 해운사의 타인자본비용에 미치는 영향
- 국내 컨테이너항만의 관문항 기능변화에 관한 연구
- 운송 서비스 유형별 해운업 파산예측에 관한 연구
- 한국 해역 관측 데이터를 이용한 앙상블 학습 기반 파고 예측
- 국내 항만에서의 해양사고 예방 및 해양환경 보호하기 위한 PSC 점검지원 서비스에 관한 연구
- 표준해사통신용어를 이용한 자율운항선박 원격운용자의 적합성 평가방법
- 충돌 위험 지수 모듈(CRIM) 개발과 이를 이용한 선박 안전운항지원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 드론을 활용한 광파표지의 실외 광도 측정 시스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해양공학분야 BEST
- 시스템다이내믹스를 활용한 평택·당진항 수입 승용차 물동량 예측에 관한 연구
-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에 따른 지자체 대응 전략
- 크루즈관광산업 활성화를 위한 관광경쟁력 제고방안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