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스마트 항로표지에서의 AIS-ASM 기반 환경 정보 제공을 위한 표준화 방안

이용수 0

영문명
Standardization Plan for Providing Environmental Information Based on the AIS-ASM in Smart Aids-to-Navigation
발행기관
한국항해항만학회
저자명
김건웅(Geonung Kim) 박계각(Gyei-Kark Park)
간행물 정보
『한국항해항만학회지』제48권 제6호, 466~472쪽, 전체 7쪽
주제분류
공학 > 해양공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4,0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스마트 항로표지는 다양한 센서를 통해 데이터를 수집하고 이를 가공한 정보를 AIS-ASM을 이용하여 주변 선박에게 제공할 수 있다. 최근 ASM을 위한 별도 주파수 할당, AIS-ASM을 위한 항해 디스플레이의 표출 방안 표준화 등 ASM 관련 변화로, ASM을 이용한 서비스의 활성화가 기대된다. 스마트 항로표지에서는 국제적 사용을 위해 권고되고 있는 ASM 31(기상 수로 정보), 26(환경)을 통해 환경 정보를 제공할 수 있는데, 본 논문에서는 해당 서비스 구현 과정에서 식별된, 기존 IMO 회람문서에서 개정이 필요한 내용들을 정리하였다. 국제적 이용을 위한 ASM에서 정의하지 않은 정보들을 제공하고자 하는 경우 새로운 응용 식별자 지정 및 기능 메시지 구조 정의 등이 필요한데, 국내 표준화를 통해 이러한 작업을 진행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그동안 국내에서 정의한 응용 식별자를 정리하였고, 응용 식별자를 추가 지정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또한 기능 메시지 구조 정의 시 수행해야 하는 작업과 표출 관련 정의 등 추가로 진행되어야 하는 작업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Smart AtoN can collect data from various sensors and transmit processed information to nearby vessels using the AIS-ASM. Recent changes related to the AIS-ASM, such as the allocation of separate frequencies for the ASM and the standardization of display methods for AIS-ASMs on navigation systems, are expected to promote services using the AIS-ASM. The Smart AtoN can provide environmental information through internationally recommended messages 31 (meteorological and hydrographic data) and 26 (environmental information). This paper summarizes the necessary revisions identified in existing IMO circular documents during the implementation of these services. To provide information not defined in ASMs for international use, regional standardization is crucial. This process includes allocating application identifiers and defining functional message structures for each application. The paper outlines methods for achieving these objectives through regional standardization, summarizes the application identifiers that have been defined regionally to date, and proposes a plan for designating new identifiers for future services. Additionally, it addresses the tasks that need to be completed when defining functional message structures and display-related definitions.

목차

1. 서 론
2. ASM 구성과 관련 환경 변화
3. 스마트 항로표지와 국제적 사용을 위한 ASM
4. 지역 ASM 서비스 표준화 방안
5. 결 론
후 기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건웅(Geonung Kim),박계각(Gyei-Kark Park). (2024).스마트 항로표지에서의 AIS-ASM 기반 환경 정보 제공을 위한 표준화 방안. 한국항해항만학회지, 48 (6), 466-472

MLA

김건웅(Geonung Kim),박계각(Gyei-Kark Park). "스마트 항로표지에서의 AIS-ASM 기반 환경 정보 제공을 위한 표준화 방안." 한국항해항만학회지, 48.6(2024): 466-47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