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드론을 활용한 광파표지의 실외 광도 측정 시스템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he Luminous Intensity Measurement System of Visual Aids Using Drone
- 발행기관
- 한국항해항만학회
- 저자명
- 이충진(Chungjin Lee) 채정근(Jeonggeun Chae) 이동엽(Dongyeob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항해항만학회지』제48권 제6호, 589~594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공학 > 해양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4,0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해상 유인등대 및 무인표지에 설치된 등명기의 경우, 선박들의 안전한 항해를 위해 항상 일정 기준 이상의 빛을 발광해야 한다. 대한민국 해양수산부에서는 주기적으로 등명기 광학 특성을 검사하여 계속 사용 여부를 판단하고 있다. 중대형 등명기는 철거 및 운반이 어려워 항로표지 측정선을 활용하여 실외환경에서 검사하고 있으나, 인적·물적 비용과 파도에 의한 오차가 크게 발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항로표지 측정선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드론을 이용하여 광도를 측정하는 새로운 방법론을 개발하였다. 또한, 오동도등대를 대상으로 드론을 이용하여 광도를 측정하고 시뮬레이션을 수행하였으며, 기존 측정방식 대비 평균 5.17% 오차가 발생했다. 드론을 이용한 광도측정 방법은 향후 항로표지 측정선을 활용하면서 발생하는 단점을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In the case of lantern fixtures installed on manned marine lighthouses and unmanned beacons, they must always emit light above a certain standard to ensure the safe navigation of ships.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of the Republic of Korea periodically inspects the optical characteristics of lanterns to determine whether they should continue to be used. Middle and large-sized lanterns are difficult to dismantle and transport, so they are inspected using a buoy tender. However, significant human and material costs, as well as errors due to wave conditions, can occur. This study developed a new methodology for measuring luminous intensity using drone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associated with buoy tenders. Additionally, the luminous intensity of the Odongdo lighthouse was measured using drones, and simulations were conducted. As a result, an average error of 5.17% was observed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measurement method. The luminous intensity measurement method using drones is expected to minimize the drawbacks associated with the use of buoy tenders in the future.
목차
1. 서 론
2. 등명기 광학 검사
3. 드론을 활용한 광학측정
4. 시뮬레이션 수행 및 결과
5. 결 론
후 기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국내 크루즈 관광객의 선택속성에 대한 중요도-만족도 분석 : 목포-제주 관광객을 중심으로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48권 제6호 목차
- 선박 자동조타시스템의 사용성 향상과 상용화를 위한 해상 실증 연구
- 해상 무선 통신에서 결정 피드백을 이용한 시퀀스 등화 방법에 대한 연구
- 제한수역에서 대각도 변침으로 계획항로를 추종하기 위한 선회율에 관한 연구
- 항만도시 수변공간의 소프트 인프라 계획에 관한 연구 - 부산남항 수변공간을 대상으로
- 자동화 컨테이너터미널 안벽 크레인의 AGV 작업 차선 할당에 관한 연구
- 부산항 화물자동차 휴게소 운영 효율성 분석
- 그린포트 조성에 따른 항만 배후지역의 리버빌리티 향상에 관한 연구
- 승선 중 선원의 인터넷 커뮤니케이션이 선원 직업 유지 의도에 미치는 영향
- 선박 복원성 판단을 위한 선회구간 횡요각 예측 모델
- 스마트 항로표지에서의 AIS-ASM 기반 환경 정보 제공을 위한 표준화 방안
- 완성차 판매물류종사자의 중대재해처벌법에 대한 인식수준이 안전의식과 안전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100MW급 해상풍력발전단지의 최적 배치에 관한 연구
- 글로벌 공급망 압력이 Sea&Air 물동량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자율운항선박 지원을 위한 실시간 관측 기반의 해양환경 인공지능 예측 기술 검증
- 리스회계기준 개정이 해운사의 타인자본비용에 미치는 영향
- 국내 컨테이너항만의 관문항 기능변화에 관한 연구
- 운송 서비스 유형별 해운업 파산예측에 관한 연구
- 한국 해역 관측 데이터를 이용한 앙상블 학습 기반 파고 예측
- 국내 항만에서의 해양사고 예방 및 해양환경 보호하기 위한 PSC 점검지원 서비스에 관한 연구
- 표준해사통신용어를 이용한 자율운항선박 원격운용자의 적합성 평가방법
- 충돌 위험 지수 모듈(CRIM) 개발과 이를 이용한 선박 안전운항지원 시스템 개발에 관한 연구
- 드론을 활용한 광파표지의 실외 광도 측정 시스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공학 > 해양공학분야 BEST
- 시스템다이내믹스를 활용한 평택·당진항 수입 승용차 물동량 예측에 관한 연구
-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에 따른 지자체 대응 전략
- 크루즈관광산업 활성화를 위한 관광경쟁력 제고방안 연구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