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I 인공지능 시대의 한글 문자의 확장성을 위한 연구 - 인간과 기계를 위한 가독성을 중심으로
이용수 0
- 영문명
- Research on the Scalability of Korean Characters in the AI Era : Focused on Readability for Humans and Machines
- 발행기관
- 한국조형디자인학회
- 저자명
- 박종범(Jong-Beom Park) 안혜신(Hye-Shin Ahn)
- 간행물 정보
- 『조형디자인연구』제27집 4권, 189~206쪽, 전체 18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4,9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한글 문자 디자인의 학문적 연구의 당위성은 문화적 우수성, 글로벌 소프트 파워 강화와 더불어 급변하는 인공지능 생태계 경쟁에서 나타나고 있으며, 한글이 확보해야만 하는 기술 친화적 우위와 미래 인공지능 기반기술의 생태계 경쟁에서 밝은 미래를 보여주고 있다. 고유언어의 인공지능 생태계의 존재 여부가 미래의 세계 인공지능 시장의 우위를 결정한다고 본다면 한글 생태계 기반의 존재는 상당히 고무적이며 한글 디자인에 대한 지속적인 관심과 연구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AI 인공지능 시대로 흡입되듯이 발전하고 변모하는 환경 속에서 한글의 확장 가능성과 발전 방향을 예측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루돌프 아른하임 Rudolf Arnheim 의 시지각 이론 Art and Visual Perception Rudolf Arnheim (1974)의 이론을 바탕으로 인간의 시지각 과정에서 나타나는 내적인 심리 경향에 대해 살펴보고 한글 문자의 센싱 기술 현황에 대해 분석한다. 연구 분석을 중심으로 한글 문자 디자인의 과정을 새로운 방법론으로 소개하고, 한글 문자의 독특한 균형 구조의 결합과 가독 지향의 균형 보상의 면모 분석을 바탕으로 한글 문자 디자인의 나아갈 방향을 제안한다.
AI 인공지능 생태계의 경쟁은 글로벌 빅테크의 영어 언어권에 종속될 것인가 하는 본질적인 문제에서 우리 고유의 언어와 생태계의 존재는 엄청난 경쟁력을 의미하며 한글의 확장성 연구의 당위성과 경쟁우의 확보에 해결책을 제시할 것이다. 또한 태생적으로 과학과 철학을 바탕으로 창재된 한글은 시각적 사고를 기반한 우수한 문자이며, 형태심리 시지각이론으로 투영한 문자 구조와 패턴 연구는 기술 발전의 이정표로서 가능성이 높다. 다양한 연구 분야의 융합을 통한 그 결과를 프로그래밍할 수 있을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기계의 판독 효율을 높이는 등 생성형 인공지능에서 각종 웹기반 문서에서 정보를 모아오는 크로올링 Crawling 과정에서 또 다른 기술적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미래 인공지능 산업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출발점에서 한글 문자 디자인의 확장성과 발전 가능성의 방향을 제시해 보았다.
영문 초록
The legitimacy of academic research on Hangul character design is evident in the rapidly changing artificial intelligence ecosystem competition along with cultural excellence and strengthening global soft power, and it shows a bright future in the technologically friendly advantage that Hangul must secure and the ecosystem competition of future AI-based technologies. If the existence of an AI ecosystem of its own language determines the future dominance of the global artificial intelligence market, the existence of a Hangul ecosystem-based foundation is quite encouraging, and continuous interest in and research on Hangul design is necessary.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predict the expansion potential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Hangul in an environment that is developing and changing into the era of AI. To this end, this study examines the internal psychological tendencies that appear in the process of human visual perception based on Rudolf Arnheim's theory of Art and Visual Perception (1974) and analyzes the current state of sensing technology for Hangul characters. Based on research analysis, the process of Hangul character design is introduced as a new methodology, and the direction of Hangul character design is proposed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unique balanced structure of Hangul characters and the balance compensation aspect oriented toward readability.
The competition in the AI artificial intelligence ecosystem is fundamentally a question of whether it will be subordinated to the English-language sphere of global big tech. The existence of our own language and ecosystem means tremendous competitiveness, and it will present a solution to the legitimacy of Hangul scalability research and securing a competitive edge. In addition, Hangul, which was originally created based on science and philosophy, is an excellent character based on visual thinking, and research on character structure and patterns projected by morphological psychology visual perception theory has a high possibility as a milestone for technological development. By programming these research results to increase the reading efficiency of machines, and by suggesting another technological direction in the crawling process that gathers information from various web-based documents in generative AI, we have presented the scalability and development direction of Hangul character design as a starting point for changing the paradigm of the future AI industry.
목차
Ⅰ. 서 론
Ⅱ. 한글의 뉴노멀
Ⅲ. 한글 문자 디자인의 미래
Ⅳ.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조형디자인연구 제27집 4권 목차
- 알파세대의 라이프스타일 고찰
- 전통 목침의 유형별 조형 연구
- 정문(鄭問) 만화 예술의 언어에 관한 연구 - <동주영웅전(東周英雄傳)> 중심으로
- 한국 공예트렌드페어 운영에 관한 제언
- AI 인공지능 시대의 한글 문자의 확장성을 위한 연구 - 인간과 기계를 위한 가독성을 중심으로
- 텍스타일 디자인을 위한 DALL-E3와 Midjourney의 활용성 비교 분석 연구
- 시계 제작 기법을 활용한 금속 표면 마감 기법 연구 - 제네바 스트라이프 기법을 중심으로
- 알레산드로 멘디니, 필립 스탁, 카림 라시드의 디자인 철학을 통한 포스트모더니즘 소품 디자인 제안 연구
- 현대 예술장신구에 나타나는 바이오모픽 경향 연구 - 연구자의 숨 시리즈 작품 연구를 바탕으로
- 콘텐츠 크리에이터의 캐릭터 디자인 효과
- 페르난도 & 움베르토 캄파나(Fernando & Humberto Campana)의 디자인 특성 연구 - 공간과 가구디자인의 공예적 표현을 중심으로
- 청주국제공예공모전에 나타난 한국 현대 생활 도예의 특성 연구
- 지역자산을 활용한 로컬브랜딩 연구 - 문화도시 청주의 ‘굿쥬’ 플랫폼을 중심으로
- 문화적 트렌드와 고객가치를 반영한 헌터 백 참 디자인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