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콘텐츠 크리에이터의 캐릭터 디자인 효과

이용수 4

영문명
The Effects of Content Creators’ Character Designs
발행기관
한국조형디자인학회
저자명
서송이(Song-Yi Suh)
간행물 정보
『조형디자인연구』제27집 4권, 67~79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2.31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소셜 미디어 영상 콘텐츠가 증대됨에 따라, 개인 영상 콘텐츠 크리에이터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다. 크리에이터의 캐릭터는 크리에이터의 개인 브랜드 전략을 위한 기본 요소로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영상 콘텐츠 크리에이터 캐릭터에 관한 학문적 연구가 전무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영상 콘텐츠 크리에이터 캐릭터 디자인을 선정하여, 형태재인 이론을 기반으로 한 퍼스널 이미지를 실증적으로 탐색하였다. 수도권에 거주하는 331명의 성인이 설문 조사에 참여하여, 실사 디자인과 만화 디자인에 대한 이미지를 평가하였다. 연구결과, 실사 디자인은 친근한, 따뜻한, 부드러운, 동적인, 입체적 이미지로 인식되었다. 만화 디자인은 새로운, 모던한, 도시적 이미지로 인식되었다. 중요한 점은 실사 디자인이 만화 디자인보다 인간적인 특성과 관련한 이미지가 높게 나타났다는 점이다. 영상 콘텐츠 크리에이터 캐릭터는 이용자에게 호감도가 높아야 의사인간관계를 만들어 낼 수 있다. 본 연구는 영상 콘텐츠 크리에이터 캐릭터 디자인 유형에 대한 이미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영상 콘텐츠 크리에이터의 개인 브랜드에 관련한 한 이론과 실무에 기여한다. 연구의 한계점을 반영한 후속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영문 초록

The rise of social media videos has brought significant changes in the role of content creators. Despite the importance of characters in personal branding strategies, especially for content creators, there is very limited academic research on this topic. This study has selected character designs of content creators to empirically explore personal images based on pattern recognition theory. 331 participants took part in a survey to evaluate realistic and cartoon designs of characters.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at realistic designs are perceived as friendly, warm, soft, dynamic, and three-dimensional. In contrast, cartoon designs were perceived as novel, modern, and urban. Notably, realistic designs were found to be more strongly associated with human characteristics compared to cartoon designs. Content creators’ characters must also be likable to foster parasocial interaction with users.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s users’ perceptions of content creators' character designs, contributing to both theoretical and practical aspects of personal branding. This study also addresses limitations and recommendations for future research on content creators’ character design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방법 및 결과 분석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서송이(Song-Yi Suh). (2024).콘텐츠 크리에이터의 캐릭터 디자인 효과. 조형디자인연구, 27 (4), 67-79

MLA

서송이(Song-Yi Suh). "콘텐츠 크리에이터의 캐릭터 디자인 효과." 조형디자인연구, 27.4(2024): 67-7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