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지역자산을 활용한 로컬브랜딩 연구 - 문화도시 청주의 ‘굿쥬’ 플랫폼을 중심으로
이용수 11
- 영문명
- A Study on Local Branding Using Regional Assets : Focusing on the ‘Goodsyou’ Platform of Cultural City Cheongju
- 발행기관
- 한국조형디자인학회
- 저자명
- 김종수(Jong-Soo Kim) 한경순(Kyeong-Soon Han)
- 간행물 정보
- 『조형디자인연구』제27집 4권, 167~188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우리나라는 대도시 중심의 문화 주도 현상과 획일화로 인해 지역의 문화 경쟁력이 약화하고 있으며, 청년 인구의 수도권 유출과 고령화로 지방 소멸 위기가 심화되고 있다. 이러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지역별 고유한 문화 자원을 효과적으로 활용하여 문화 창조력을 강화하고, 지속 가능한 성장 기반을 구축하기 위한 문화도시 조성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본 연구는 2024년 올해의 문화도시로 선정된 충청북도 청주시를 사례로 삼아, 기록문화 콘텐츠를 활용하여 다른 문화도시와 차별화를 시도한 사례를 분석하였다. 특히, 청주시 지역 굿즈 플랫폼 ‘굿쥬’를 중심으로 로컬브랜딩의 문화적 활용 방안을 탐구하고자 한다. ‘굿쥬’는 지역자산을 기반으로 한 굿즈 제작 및 판매를 통해 지역의 정체성과 다양성을 강화하고자 하며, 이는 청주 문화도시 조성사업의 중요한 축을 이루고 있다. 이 연구는 다음과 같은 주요 과제를 다룬다.
첫째, ‘굿쥬’가 어떤 지역자산을 선정하고 굿즈로 변환하여 시장에 소개하였는지 조사한다. 둘째, 굿즈 디자인과 마케팅이 지역의 고유성이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지를 조사하며, 이에 따라 로컬브랜딩이 청주시 지역 발전에 어떤 기여를 하고 있는지를 분석한다. 셋째, 지역 경제 활성화 외에도 ‘굿쥬’가 지역 주민의 사회적 연대와 정체성 강화에 미친 긍정적 영향을 평가하고 성과를 도출한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굿쥬’와 같은 로컬브랜딩 사업이 앞으로 나아갈 방향성과 지속 가능한 발전 방안을 제시하여 지역자산의 문화적 활용을 통해 지속 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안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In South Korea, the dominance of culture centered on major cities and the resulting homogenization have weakened cultural competitiveness in regional areas. Additionally, the outflow of young populations to metropolitan regions and aging demographics have exacerbated the crisis of regional decline. To address this crisis, the Cultural City Development Project is being implemented, aiming to effectively utilize unique cultural resources of each region, enhance cultural creativity, and establish a foundation for sustainable growth.
This study analyzes the case of Cheongju, a city in Chungcheongbuk-do selected as the 2024 Cultural City, focusing on its efforts to differentiate itself from other cultural cities by utilizing cultural heritage content. Specifically, it explores cultural strategies for local branding centered around Cheongju’s regional goods platform, Goodsyou. Goodsyou aims to strengthen the region's identity and diversity through the creation and sale of local goods based on regional assets, which is a key component of the Cheongju Cultural City Development Project. This study addresses the following key tasks.
First, this study investigates which regional assets Goodsyou selected and how they were transformed into products and introduced to the market. Second, it examines how the design and marketing of the products reflect the region's uniqueness, and analyzes the contribution of local brand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Cheongju area. Third, it evaluates the positive impact of Goodsyou on strengthening social solidarity and identity among local residents, in addition to revitalizing the local economy, and derives the result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is study aims to present directions for the future of local branding projects like Goodsyou and propose strategie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suggesting a methodology to secure sustainability through the cultural utilization of regional asset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청주시 지역 굿즈 플랫폼 ‘굿쥬’
Ⅳ.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조형디자인연구 제27집 4권 목차
- 알파세대의 라이프스타일 고찰
- 전통 목침의 유형별 조형 연구
- 정문(鄭問) 만화 예술의 언어에 관한 연구 - <동주영웅전(東周英雄傳)> 중심으로
- 한국 공예트렌드페어 운영에 관한 제언
- AI 인공지능 시대의 한글 문자의 확장성을 위한 연구 - 인간과 기계를 위한 가독성을 중심으로
- 텍스타일 디자인을 위한 DALL-E3와 Midjourney의 활용성 비교 분석 연구
- 시계 제작 기법을 활용한 금속 표면 마감 기법 연구 - 제네바 스트라이프 기법을 중심으로
- 알레산드로 멘디니, 필립 스탁, 카림 라시드의 디자인 철학을 통한 포스트모더니즘 소품 디자인 제안 연구
- 현대 예술장신구에 나타나는 바이오모픽 경향 연구 - 연구자의 숨 시리즈 작품 연구를 바탕으로
- 콘텐츠 크리에이터의 캐릭터 디자인 효과
- 페르난도 & 움베르토 캄파나(Fernando & Humberto Campana)의 디자인 특성 연구 - 공간과 가구디자인의 공예적 표현을 중심으로
- 청주국제공예공모전에 나타난 한국 현대 생활 도예의 특성 연구
- 지역자산을 활용한 로컬브랜딩 연구 - 문화도시 청주의 ‘굿쥬’ 플랫폼을 중심으로
- 문화적 트렌드와 고객가치를 반영한 헌터 백 참 디자인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