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한국 공예트렌드페어 운영에 관한 제언
이용수 3
- 영문명
- Developmental Suggestions on the Structural Operation of the Craft Trend Fair in Korea
- 발행기관
- 한국조형디자인학회
- 저자명
- 김정석(Jung-Suk Kim) 김수아(Su-A Kim)
- 간행물 정보
- 『조형디자인연구』제27집 4권, 153~166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2.31
4,4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한국의 공예 관련 지원 정책은 담당 부서와 정책의 변화에 따라 차이를 보여왔다. 공예 관련 지원기관이 문화체육관광부 산하일 때는 미술, 문화적 관점에 비중을 두는 반면 산업자원부 산하의 경우는 산업의 영역에 중점을 두고 있어 지원 대상자와 사업 내용이 다르다. 문화체육관광부 소속 산하 기관인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은 정부의 공예인력 양성, 공예산업 육성, 공예문화 계승 발전시키려는 의지를 반영한 다양한 노력을 지속해 왔다. 그 가운데 공예트렌트페어는 17회(2006~2023년) 연속으로 코엑스에서 진행되어 온 공예진흥 사업으로 가장 많은 예산이 투입된 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의 핵심 사업이다. 그럼에도 지금까지 사업에 대한 전문 평가기관의 평가가 체계적으로 이뤄지지 못했으며 운영 및 성과와 관련된 대부분 자료는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자체에서 작성된 보고서뿐이다. 이는 진흥원에 대한 외부 기관의 평가가 제한적, 비정기적으로 이뤄져 온 것과 무관하지 않다.
영문 초록
Korea's craft-related support policy has varied depending on the department in charge and shifts in policy focus. Specifically, when craft-related support organizations fall under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the emphasis tends to be on art and culture. In contrast, when the Ministry of Commerce, Industry and Energy oversees such organizations, the focus shifts to the industrial sector. As a result, the targets of support and the nature of the projects differ accordingly. The Korea Craft & Design Foundation (KCDF), an organization affiliated with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has consistently worked to reflect the government's commitment to developing craft manpower, nurturing the craft industry, and preserving and advancing craft culture. One notable initiative is the Craft Trend Fair, a key project of the Korea Craft & Design Foundation, which has been held at COEX for 17 consecutive years (2006-2023). This event represents the largest financial investment of the foundation. However, the evaluation of this project by professional agencies has been sparse and irregular, and most performance data has been sourced from reports produced by the Korea Craft & Design Foundation itself. This is partly due to the limited and inconsistent nature of external evaluations of the agency. The Craft Trend Fair, which best reflects the purpose of promoting craft culture, has grown into an event involving over 280 participants, including individuals, organizations, and institutions, through a variety of activities such as exhibitions, lectures, and workshops. In order to ensure the continued success of this project in promoting crafts, there is a need for expert-driven evaluations and improvements based on diverse and objective perspectives.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ontent and outcomes of the Craft Trend Fair through data and insights gathered from researchers who have directly and indirectly participated in the event as craft educators and artists.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assess the achievements and identify areas for improvement, ultimately providing guidance for the direction of future initiatives.
목차
Ⅰ. 서론
Ⅱ. 주요 사업 내용 분석
Ⅲ. 제안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조형디자인연구 제27집 4권 목차
- 알파세대의 라이프스타일 고찰
- 전통 목침의 유형별 조형 연구
- 정문(鄭問) 만화 예술의 언어에 관한 연구 - <동주영웅전(東周英雄傳)> 중심으로
- 한국 공예트렌드페어 운영에 관한 제언
- AI 인공지능 시대의 한글 문자의 확장성을 위한 연구 - 인간과 기계를 위한 가독성을 중심으로
- 텍스타일 디자인을 위한 DALL-E3와 Midjourney의 활용성 비교 분석 연구
- 시계 제작 기법을 활용한 금속 표면 마감 기법 연구 - 제네바 스트라이프 기법을 중심으로
- 알레산드로 멘디니, 필립 스탁, 카림 라시드의 디자인 철학을 통한 포스트모더니즘 소품 디자인 제안 연구
- 현대 예술장신구에 나타나는 바이오모픽 경향 연구 - 연구자의 숨 시리즈 작품 연구를 바탕으로
- 콘텐츠 크리에이터의 캐릭터 디자인 효과
- 페르난도 & 움베르토 캄파나(Fernando & Humberto Campana)의 디자인 특성 연구 - 공간과 가구디자인의 공예적 표현을 중심으로
- 청주국제공예공모전에 나타난 한국 현대 생활 도예의 특성 연구
- 지역자산을 활용한 로컬브랜딩 연구 - 문화도시 청주의 ‘굿쥬’ 플랫폼을 중심으로
- 문화적 트렌드와 고객가치를 반영한 헌터 백 참 디자인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