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텍스트 읽기에 기반한 역사갈등 인식 학습 - 일본군 ‘위안부’ 텍스트를 사례로
이용수 19
- 영문명
- Learning Historical Conflict Awareness Through Text Reading: Using Japanese Military ‘Sex-slaved Women’ Texts as a Case Study
- 발행기관
- 한국역사교육학회
- 저자명
- 김한종(Han Jong Kim)
- 간행물 정보
- 『역사교육연구』제50호, 101~140쪽, 전체 4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30
7,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에서는 역사 갈등 교육을 위한 새로운 접근 방법으로 텍스트 읽기에 의한 역사 수업 방안을 제시했다. 역사갈등을 보는 관점과 이에 대한 논의의 폭이 확대되고, 역사갈등 교육이 인간과 사회가 지향해야 할 인류의 보편적 가치를 지향해야 한다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지만, 학습의 결과는 여전히 이를 따르지 못하고 있다. 이 글에서는 그 이유를 진단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텍스트 읽기를 기반으로 하는 역사 수업의 절차를 탐색했다. 그리고 이를 일본군 ‘위안부’를 주제로 한 책인 『제국의 위안부』에 적용해서 실제로 학생들에게 읽게 하였다. 이를 통해 텍스트 읽기를 통한 역사 갈등 수업의 가능성을 밝혔다. 학생들은 구조화된 텍스트 읽기를 통해 역사 갈등의 쟁점을 파악하고, 텍스트에 내재되어 있는 논리의 타당성을 밝힐 수 있었다. 이는 학생들 스스로 역사의 진실을 파악하는 실천적 행위로 이어질 수 있다. 다만 이를 위해서는 텍스트 읽기에서 적절한 문제제기와 발문이 요구된다.
역사 갈등 교육이 학생들로 하여금 갈등 내용이 되는 역사적 사실에 대한 인식을 내면화하고, 갈등 해소를 위한 실천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학습내용을 내면화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갈등 문제를 보는 관점과 인식을 지식으로 전달하지 말고 학생들 스스로 생각하게 하해야 한다. 이를 위해 텍스트 읽기에 의한 역사 갈등 수업에서는 먼저 탐색해야 하는 문제를 학생들 스스로 선택해서 이를 탐구하는데 필요한 지식을 추론한다. 그런 다음으로 텍스트를 분석하고 해석해서 갈등의 쟁점을 확인하고 학생들이 자신의 관점을 정리한다. 그 결과 학생들이 가지게 될 역사인식은 자신의 텍스트 읽기와 탐구를 바탕으로 한 것이기에 다른 갈등 주제에도 적용할 수 있으며, 내면화하여 실천으로 연결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이런 문제제기와 수업이 기존의 역사 갈등 수업에서 이루어진 은폐된 왜곡 구조나 감춰진 사회 문제를 지식으로 폭로하는 교육이 불필요하다는 뜻은 아니다. 이제는 그 단계를 넘어서 한 걸음 더 나아가 문제를 학생들 스스로 사고하고 그에 대한 인식을 체화해서 사회적 실천으로 나아갈 수 있게 하는 교육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는 의미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new approach for historical conflict education based on text reading. Though the ways of viewing and discussing historical conflicts are various, and historical conflict education is moving toward the direction that human beings and societies should aim for universal values of humanity, the learning outcomes still do not follow suit. In this article, we diagnosed the reasons for this and explored a procedure for a history teaching based on text reading as a way to solve it, and then applied it to Comfort Women of the Empire which describe about the Japanese military “Sex-slaved woman”, and had students actually read it. The results show the potential of teaching historical conflict through text reading. Students could identify the issues in historical conflicts and judge the validity of the logic embedded in the text with structured reading of texts. The results of such cognition can lead to the practical act of identifying the truth of history on their own. However, this requires appropriate questioning and response in the reading of the text.
In order for historical conflict education to lead to students' internalization of awareness of the historical facts that constitute the content of conflict, and to lead to action for conflict resolution, students need to re-enact such facts. For this purpose, it is necessary to make students think about their own perspectives and perceptions of conflict issues, rather than transmitting them as knowledge. In a text-reading lesson on historical conflict, students first choose an issue to explore and deduce the knowledge they need to explore it. Next, they analyze and interpret the text to identify the issues in the conflict and organize their own perspectives. The resulting historical awareness that students develop is based on their own reading and exploration of texts and can be applied to other conflict topics, internalized to themselves, and led to the real action.
This is not to say that such questioning and teaching is not to argue the traditional history education, which expose the distortions and social problems that are often hidden, is unnecessary. It means that we need to go one step further and seek education that enables students to think about the issues themselves, internalize their awareness, and move toward social practice.
목차
Ⅰ. 머리말
Ⅱ. 역사갈등 교육의 문제점
Ⅲ. 역사갈등교육 자료로서 텍스트의 성격과 유형
Ⅳ. 텍스트 읽기 역사학습의 방법과 절차 - 『제국의 위안부』 읽기
Ⅴ. 맺음말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역사교육연구 제50호 목차
- 이승만 정부 시기 ‘中共 오랑캐’ 敍事와 ‘국민역사교육’
- [서평] 동아시아사 교육의 궤적과 진로 - 『<동아시아사> 교육과정, 누가 어떻게 만들었을까?』(한국학술정보, 2023)
- ‘평화 교재’로서의 전쟁사: 역사 교과서 서술 검토 및 대안의 모색 - 제1·2차 세계대전 서술을 중심으로
- ‘이상형(Ideal type) 역사학습법’에 따른 학생의 역사 교과서 인식과 활용법
- 평화를 목적으로 갈등의 자리 마련하기 - 분쟁의 관점에서 바라보는 남북관계
- 텍스트 읽기에 기반한 역사갈등 인식 학습 - 일본군 ‘위안부’ 텍스트를 사례로
- 아동 소설을 활용한 5·18 민주화 운동의 시민 행위주체성 인식 수업구성 및 실천
- 역사교육의 목표-내용-방법 논의, 그리고 역사교육학의 패러다임과 프레임
- [서평] 실천으로 이끄는 시민교육 - 『시민교육은 무엇을 가르쳐야 하는가 - 정의와 조화를 위한 교육과정』(역사비평사, 2023)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역사학분야 NEW
- The Cultural Mission in the New Era: Core Essentials, Generative Mechanisms, and Key Functions
- Xi Jinping's Triple Logic of the Important Exposition of Marine Powers into Colleges and Universities' Ideological and Political Courses
- The Contemporary Value, Basic Principles and Inheritance Paths of Outstanding Traditional Chinese Culture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