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From ‘Essential’ to ‘Disposable’: The Experiences of Central Asian Women Workers in South Korea During and After COVID-19
이용수 7
- 영문명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러시아 알타이지역 연구소
- 저자명
- Shikorieva S. Seon young Seo
- 간행물 정보
- 『러시아학』제29호, 243~278쪽, 전체 36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30
7,1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shifting labor experiences of undocumented Central Asian women workers in South Korea during and after the COVID-19 pandemic, exploring how these workers transitioned from being regarded as “essential” laborers in times of crisis to “disposable” as the labor market rebounded. Drawing on Labor Market Segmentation and Intersectionality theories, this research analyzes how gender, ethnicity, and age intersect to shape the precarious employment conditions of undocumented women in South Korea’s secondary labor market. Based on in-depth interviews and participant observations, findings reveal that while labor shortages during the pandemic temporarily boosted job stability and access to work, undocumented women migrants were often subjected to long hours, low wages, and a lack of legal protections. In the post-pandemic period, renewed government crackdowns and increased competition from documented migrants exacerbated job insecurity and diminished wages, pushing these women into even more marginalized positions. By highlighting the experiences of undocumented migrant women, this study enhances understanding of South Korea's fluctuating reliance on and marginalization of undocumented labor, underscoring the need for more inclusive labor protections.
영문 초록
목차
Ⅰ. Introduction
Ⅱ. Labor Migration Policies and Undocumented Migrant Workers in the Korean Labor Market
Ⅲ. The Segmented Labor Market and Intersectionality: Understanding Undocumented Women Migrant Workers
Ⅳ. Research Methods
Ⅴ. Employment Security and Unequal Protection during the Pandemic
Ⅵ. Barriers to Employment and Intersectional Challenges after the Pandemic
Ⅶ. Conclusion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러시아어 교수법 측면에서 살펴본 ‘스코로고보르카(Скороговорка)’와 ‘치스토고보르카(Чистоговорка)’의 효용성 연구
- 학습자 자기평가를 통한 학습자 오류 분석: 노-한 동시통역 학습자를 중심으로
- 기억과 기록. 올가 베르골츠의 레닌그라드 봉쇄 텍스트 (2): 자전적 산문 『낮별』(Дневные звёзды) 읽기
-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러시아의 대 BRICS 관계 양상: 대외경제안보 관점에서
- 문화관광의 관점에서 살펴본 러시아 소수민족 지역의 관광 활성화 방안
- 철도의 전략적 가치 분석: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중심으로
- 속초~러시아 북방항로 국제여객선 운항 정상화를 위한 국제문화교류협력 연구
- 아딜한 예르자노프의 영화 「황야의 늑대」 연구
- From ‘Essential’ to ‘Disposable’: The Experiences of Central Asian Women Workers in South Korea During and After COVID-19
- К вопросу о комизме в прозе Леонида Добычина
- Сравнительный анализ русской и японской пейзажной лирики первой половины XIX века: на примере русского поэта Евгения Боратынского и японского поэта Кобаяси Иссы
- Традиционное снаряжение охотников тунгусо-язычных народов Приамурья и Приморья
- Депутаты Верховного Совета СССР второго созыва (1946–1950 гг.) от Ойротской автономной области: штрихи к портрету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NEW
- 스토리콘텐츠 6집 목차
- 한국 오컬트 드라마 속 자아의 분열과 저항적 주체의 형성 : SBS 드라마 〈악귀〉의 경우
- 문화인류학의 관점에서 바라본 SF 장르의 몇 가지 논점에 관하여 : 문화적 유사성, 문화유물론, 유토피아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