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기억과 기록. 올가 베르골츠의 레닌그라드 봉쇄 텍스트 (2): 자전적 산문 『낮별』(Дневные звёзды) 읽기

이용수 16

영문명
Memory and Records. The Blockade Texts of Olga Bergholz (2): Reading the Autobiographical Prose Daytime Stars
발행기관
충북대학교 러시아 알타이지역 연구소
저자명
강수경(Su Kyung Kang)
간행물 정보
『러시아학』제29호, 57~84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1.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이 글은 <올가 베르골츠의 레닌그라도 봉쇄 텍스트>라는 주제로 쓰인 두 번째 논문이다. 여기에서 우리는 작가가 스스로 자신의 “인생 책”이라 불렀던 자전적 산문 『낮별』을 분석해 보았다. 이 작품은 그녀가 창작한 수많은 서정시들과도 이웃하고 있으며, 그녀가 생의 마지막 수십 년간 관심을 갖고 있던 거의 모든 주제들과도 긴밀히 연관된다. 이 글은 다음의 두 가지 관점에서 산문 『낮별』을 읽고 분석하고자 했다. 첫째, 1930년대부터 봉쇄 기간을 통과하며 그녀의 일기와 작품에서 꾸준히 반복되고, 1945년에 창작된 서사시 「너의 길」에서 선명하게 제시되었던 삶과 죽음, 부활의 주제가 자전적 산문 『낮별』에서 어떻게 성찰되는지, 둘째, 전시 기간 창작된 그녀의 봉쇄 텍스트에 재현된 역사적 트라우마라는 문제의식이 전후에 창작된 이 책에서는 어떻게 사유되는지에 주목하였다. 올가 베르골츠는 『낮별』에서 유년 시절의 기억을 떠올리고 어린 시절 살던 아버지 집을 오가는 여정을 통해 자신이 삶의 가장 중요한 것을 잊고 지냈다는 것을 깨닫는다. 그것은 사랑하는 사람들에 대한 따뜻한 마음이며, 보통의 이웃들이 가진 따뜻한 삶의 온기이다. 또한 죽음이란 없는 것임을 확신한다. 이런 점에서 그녀는 자신이 살아가야 할 이유가 곧 예술과 문학에 있음을 알게 된다. 올가 베르골츠는 전시 기간 창작한 작품에서 국가, 국민, 애국에 초점을 맞추었다면, 전후 창작한 『낮별』에서는 이 패러다임을 넘어 세계와 민족을 향한 사랑과 긍휼, 용서의 마음을 품는다. 베르골츠는 고백을 통한 직접 말하기의 서술 방식을 통해 역사의 진실성을 획득했고, 자신의 경험을 공통의 경험으로 보편화했다. 또한 과거의 기억을 불러옴으로써 지금, 여기 우리의 삶을 통찰하게 하는 현재성도 획득했다. 바로 여기에 이 작품의 의미가 있다.

영문 초록

This is the second paper written on the subject of Olga Bergholz’s Blockade texts. Here, we analyze her autobiographical prose work Daytime Stars(1959), which the poet herself called her “life book.” In this article, we read Daytime Stars from two perspectives. First, we consider how the themes of life, death, and resurrection, which were consistently repeated in her diaries and works from the 1930s through the blockade period, appear in Daytime Stars. Second, we examine how her critical awareness of historical trauma in her wartime texts is reflected in this book. In Daytime Stars, Olga Bergholz recalls her childhood memories and realizes that she has forgotten the most important thing in life: a warm heart for loved ones and the warmth of life that ordinary people have. She realizes that her reason for living lies in art and literature. While Olga Bergholz focused on the country, people, and patriotism in her wartime works, in Daytime Stars she goes beyond this paradigm and embraces feelings of love, compassion, and forgiveness toward the world and its people. Bergholz achieves historical accuracy through her narrative method of speaking directly, and universalizing her experience as a common experience. In addition, by recalling memories of the past, she shows us how to gain insight into our lives here and now.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소비에트 레닌그라드의 봉쇄 시인 올가 베르골츠
Ⅲ. 자전적 산문 『낮별』 : 올가 베르골츠의 두 개의 길
Ⅳ. 나가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수경(Su Kyung Kang). (2024).기억과 기록. 올가 베르골츠의 레닌그라드 봉쇄 텍스트 (2): 자전적 산문 『낮별』(Дневные звёзды) 읽기. 러시아학, (), 57-84

MLA

강수경(Su Kyung Kang). "기억과 기록. 올가 베르골츠의 레닌그라드 봉쇄 텍스트 (2): 자전적 산문 『낮별』(Дневные звёзды) 읽기." 러시아학, (2024): 57-84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