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아딜한 예르자노프의 영화 「황야의 늑대」 연구

이용수 43

영문명
A Study of Adilhan Yerzhanov's film Steppenwolf
발행기관
충북대학교 러시아 알타이지역 연구소
저자명
홍상우(Sang Woo Hong)
간행물 정보
『러시아학』제29호, 221~241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1.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아딜한 예르자노프는 카자흐스탄 영화의 주요 감독으로 매년 한두 편의 영화를 연출하고 있다. 아딜한 예르자노프의 영화 세계를 한마디로 정의하자면 ‘인물의 이주와 정주를 통한 카자흐스탄 사회의 풍경 묘사’이다. 헤르만 헤세의 동명 소설을 원작으로 한 《황야의 늑대》에서 작가는 자신의 트레이드마크인 노란색과 파란색 반점을 거의 완전히 버리고, 이제 스크린 속 세계는 카자흐스탄 황무지와 보라색 피의 강으로 이루어진 진흙 팔레트로 구성된다. 아딜한 예르자노프 작품의 배경은 일상적인 삶의 도시 혹은 시골이었지만, 《황야의 늑대》의 풍경은 평원, 썩은 자동차 선체, 희귀한 허름한 집과 전초기지 등 종말 이후의 풍경에 가깝습니다. 감독의 주요 예술적, 사상적 영감 중 하나는 미국 포스트 웨스턴(그리고 그 이데올로기인 샘 페킨파)입니다. 이 작품에서는 더 이상 원주민이나 도적의 습격으로부터 사람들을 구하는 보안관은 없으며 모든 것이 혼돈으로 바뀌고 황량한 사막 한가운데서 무장 한 남자들이 돈이나 복수를 위해 서로를 죽인다. 남자 주인공인 배신자는 후자에 관심이 있다. 그의 아내와 딸은 장기를 위해 아이들을 팔기로 유명한 마피아 지도자 타하에게 불에 타서 사망했다. 이때 남자 주인공의 이미지는 ‘람보’와 유사하며, 피로 얼룩진 결투를 지속하면서, 이러한 전사의 이미지를 지닌 브라이유크가 바로 성스러운 여성인 타마라의 보호를 받는 것이다. 따라서 이 작품에서는 극단적으로 대립되는 두 남녀 캐릭터의 부조화의 조화를 느낄 수 있는 것이다.

영문 초록

In the film Steppenwolf director Adilhan Yerzhanov continues to tell the story of the “road trip” of the two main characters, who are still unable to form a complete family. As in other films released since 2018, the protagonists are forced to embark on a path destined for destruction, with no possibility of redemption in sight. Nevertheless, they do so because it is the only way to face the world. Adilhan Yerzhanov's Steppenwolf also inherits the Soviet montage technique represented by Eisenstein. In particular, he illustrates in this work the technique of intellectual montage, which emphasizes the collision of opposites and the intervention of the viewer's perception. He seems to have referenced these classic Soviet montage techniques in masterpieces such as The Wild Bunch. Adilhan Yerzhanov also uses the white space of the shots to depict the desolation and dystopian landscape of empty space. Another stylistic feature of Steppenwolf` is that it borrows from the Western genre. The director blends the styles of classic Westerns and revisionist Red Westerns in the film, reimagining them as Kazakhstani Westerns. Another Kazakh red western, Erlan Nurmekhamdov's The Horse Thieves. The Roads of Time(2019) focused on the visualization of the landscape and the redemption of the characters in a traditional Western, while Steppenwolf depicts a dystopian world where the possibility of redemption is absent. Also, as in his previous film The Yellow Cat, Adilhan Yerzhanov creatively quotes and transforms masterpieces of world cinema in Steppenwolf. In conclusion, Adilhan Yerzhanov's Steppenwolf can be seen as a reflection of the director's ambition to combine the specificity of Central Asia with the universality of world cinema.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Ⅲ.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홍상우(Sang Woo Hong). (2024).아딜한 예르자노프의 영화 「황야의 늑대」 연구. 러시아학, (), 221-241

MLA

홍상우(Sang Woo Hong). "아딜한 예르자노프의 영화 「황야의 늑대」 연구." 러시아학, (2024): 221-241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