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문화관광의 관점에서 살펴본 러시아 소수민족 지역의 관광 활성화 방안
이용수 24
- 영문명
- Tourism Activation Strategies for Russia's Ethnic Minority Regions Examined from a Cultural Tourism Perspective
- 발행기관
- 충북대학교 러시아 알타이지역 연구소
- 저자명
- 김주호(Ju Ho Kim) 김태진(Tae Jin Kim)
- 간행물 정보
- 『러시아학』제29호, 119~149쪽, 전체 3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30
6,5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러시아는 다민족 국가로, 약 200여 개의 소수민족이 존재하며 이들의 고유한 문화는 풍부한 관광 자원을 형성한다. 특히, 소수민족의 전통과 역사적 배경은 관광산업에서 큰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2020년 푸틴 대통령의 발표 이후, 러시아는 관광산업을 국가 경제 성장의 중요한 축으로 설정하고, 소수민족 지역의 문화관광 자원을 활성화하려는 노력을 강화하고 있다.
연구는 러시아의 소수민족 지역을 중심으로 문화관광 활성화를 위한 전략을 모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소수민족의 고유한 문화를 관광 자원으로 활용함으로써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이익을 증대시키는 방안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소수민족의 문화적 특성과 관광 자원을 접목하여 효과적인 관광 활성화 전략을 도출한다.
러시아의 여러 소수민족 지역은 독특한 문화와 전통을 보유하고 있다. 소수민족의 전통 신앙과 의례는 독특한 관광 자원이 될 수 있으며, 전통 생활 방식은 관광객에게 매력적인 체험을 제공한다. 이러한 문화적 요소들은 관광 자원으로의 가능성을 가진다.
논의점으로 소수민족의 전통 문화를 보존하고 이를 관광 자원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방안을 제시한다. 예를 들어, 소수민족 문화단지 조성 및 문화체험 프로그램 개발을 통해 민족 고유의 이야기를 스토리텔링 방식으로 전달하는 방안을 제안한다. 또한, 민족의 역사적 기원과 현재 생활을 결합하여 풍부한 관광 경험을 제공하고, 관광객의 흥미를 유도할 수 있는 판타지적 요소를 가미하는 것이 중요하다.
시사점으로 소수민족의 문화관광 자원을 활용하는 것이 러시아의 경제적 성장과 문화적 다양성 보존에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소수민족의 고유한 문화를 효과적으로 관광 자원으로 전환함으로써, 지역 경제 활성화와 문화적 가치를 동시에 증대시키는 방안이라는 점을 논의점으로 제시하였다. 향후 지속 가능한 관광 발전을 위해서는 소수민족 문화의 진정성과 독창성을 유지하면서 발전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Russia, a multi-ethnic nation with approximately 200 ethnic groups, possesses diverse cultural traditions that present significant opportunities for tourism development. The unique traditions and historical backgrounds of these ethnic minorities hold considerable potential to contribute to the tourism industry. Since President Putin's 2020 announcement, Russia has recognized tourism as a key driver of national economic growth and has actively sought to enhance cultural tourism in ethnic minority regions.
This study explores strategies to revitalize cultural tourism, focusing on ethnic minority regions in Russia. It aims to maximize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benefits by leveraging the unique cultural characteristics of ethnic minorities as tourism resources and effectively integrating them with existing tourism assets.
Russia's various ethnic regions have distinct identities, customs, and traditions that can serve as valuable tourism assets, offering immersive and authentic experiences to tourists. These cultural elements hold significant potential to enrich the tourism sector.
The research presents specific strategies to preserve and transform the traditional cultures of ethnic minorities into tourism resources. It emphasizes storytelling, the establishment of cultural complexes, and the development of cultural experience programs as effective methods to convey unique ethnic narratives. Additionally, it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combining historical backgrounds with contemporary lifestyles to create enriched tourism experiences, incorporating elements of fantasy to captivate tourists' interest.
Utilizing the cultural tourism resources of ethnic minorities can significantly contribute to Russia's economic growth while promoting cultural diversity. By transforming their unique cultures into tourism products, local economies can be revitalized and cultural value enhanced. Furthermore, the study emphasizes sustainable tourism development, underscoring the need to maintain the authenticity and originality of minority cultur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러시아 관광정책과 소수민족
Ⅳ. 러시아 소수민족과 문화관광 접목방안에 대한 논의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러시아어 교수법 측면에서 살펴본 ‘스코로고보르카(Скороговорка)’와 ‘치스토고보르카(Чистоговорка)’의 효용성 연구
- 학습자 자기평가를 통한 학습자 오류 분석: 노-한 동시통역 학습자를 중심으로
- 기억과 기록. 올가 베르골츠의 레닌그라드 봉쇄 텍스트 (2): 자전적 산문 『낮별』(Дневные звёзды) 읽기
- 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러시아의 대 BRICS 관계 양상: 대외경제안보 관점에서
- 문화관광의 관점에서 살펴본 러시아 소수민족 지역의 관광 활성화 방안
- 철도의 전략적 가치 분석: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을 중심으로
- 속초~러시아 북방항로 국제여객선 운항 정상화를 위한 국제문화교류협력 연구
- 아딜한 예르자노프의 영화 「황야의 늑대」 연구
- From ‘Essential’ to ‘Disposable’: The Experiences of Central Asian Women Workers in South Korea During and After COVID-19
- К вопросу о комизме в прозе Леонида Добычина
- Сравнительный анализ русской и японской пейзажной лирики первой половины XIX века: на примере русского поэта Евгения Боратынского и японского поэта Кобаяси Иссы
- Традиционное снаряжение охотников тунгусо-язычных народов Приамурья и Приморья
- Депутаты Верховного Совета СССР второго созыва (1946–1950 гг.) от Ойротской автономной области: штрихи к портрету
관련논문
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NEW
- 스토리콘텐츠 6집 목차
- 한국 오컬트 드라마 속 자아의 분열과 저항적 주체의 형성 : SBS 드라마 〈악귀〉의 경우
- 문화인류학의 관점에서 바라본 SF 장르의 몇 가지 논점에 관하여 : 문화적 유사성, 문화유물론, 유토피아를 중심으로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