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교사의 학교 정치참여교육 운영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이용수 13
- 영문명
- A Qualitative Meta-Analysis of Teachers' Experiences in Implementing Political Participation Education in Schools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김하정(Hajeong Kim)
- 간행물 정보
- 『교육문제연구』第93輯, 1~29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11.30
6,2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교현장에서 운영되는 정치참여교육의 효과와 제한점에 대한 종합적 분석을 통해 교육활동 및 행정적·정책적 방안 마련에 도움이 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질적 메타분석 방법을 활용하여 교과 및 비교과 영역에서 수행된 학교 정치참여교육에 대한 교사의 경험적 인식이 어떠한지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의 교과 및 비교과 교육과정 운영 경험을 통해 교사들이 인식한 정치참여교육에 대한 인식은 ‘교수·학습활동 관련 인식’, ‘기존 사고의 확장’, ‘효과적인 정치참여교육 실천의 제한점’으로 분석되었다. 교수·학습활동의 내용 및 방법은 ‘관심사 및 현실문제 활용’, ‘범교과 연계 융합수업 설계’, ‘실천적 활동과 성공경험 제공’, ‘자기성찰 및 타인 존중’, ‘자율적 의사결정 경험 부여’ 로 분류되었고, 사고의 확장은 교육과정 운영 과정에서 정치참여교육에 대한 의미의 ‘개념화’와, 학생들과 교사 자신의 ‘성장’ 경험으로 분류되었다. 제한점은 ‘개인적·시스템적·학교 문화적·사회적 요인’으로 분류되었다. 둘째, 효과적인 학교 정치참여교육의 방향성에 대한 요구 분석을 위해 분석틀을 적용하여 도출한 과제는 ‘개념의 전환, 실천적 과제, 지원적 과제’로 분류되었다. ‘개념의 전환’은 학생을 대하는 사회적 관점과 갈등을 대하는 관점의 변화와 정치참여교육 활동에 대한 개념적 정의의 필요성을 포함하며, ‘실천적 과제’는 개인적 실천과 공동체적 실천, 교수·학습 내용 및 방법을, ‘지원적 과제’는 사례집 등 자료 개발 및 보급과 교사의 중립성과, 인문학 및 민주주의 기초과정의 필수 교육과정 지정 등의 정책적·제도적 지원을 포함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행정적,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providing a comprehensive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and limitations of political participation education in schools, thereby assisting in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activities and administrative and policy measures. To achieve the research objectives, a qualitative meta-analysis method was used to analyze teachers' empirical perceptions and needs for political participation education in school, both in curricular and co-curricular area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perceptions of political participation education based on their experiences in both curricular and co-curricular were analyzed and categorized into three main areas: ‘perceptions related to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expansion of existing thinking’, and ‘limitations hindering effective curriculum implementation’. The limitations were classified as “personal, systemic, school cultural, and social factors.” Second, an analytical framework was applied to analyze the needs for the direction of effective political participation education in school. The tasks for effective political participation education in school were categorized into 'conceptual tasks, practical tasks, and supportive tasks'. Based on these insights, the study provides both administrative and policy implication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 한국교원교육연구
- 사회과수업연구
- 법과인권교육연구
- 사회과교육연구
- 오토피아
- 사회과교육연구
- 아시아여 성연구
- 시민교육연구
- 선거연구
- 시민교육연구
- 교육교과연구
- 청소년학연구
- 법과 인권교육연구
- 청소년학연구
- 시민교육연구
- 시민교육연구
- 교육혁신연구
- 시민교육연구
- 시민교육연구
- 청소년학연구
-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 교육비평
- The Journal of the Convergence on Culture Technology
- 시민교 육연구
- 시민교육 연구
- 교육학연구
- 교육정치학연구
- 시민교육연구
- 역사교육연구
- 아시아교육연구
- 교육연구
- 교육연구
- 법과인권교육연구
- 교육과정평가연구
- 한국교원교육연구
- Journal of Health Services Research & Policy
- Global Environmental Change
- Journal of Advanced Nursing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