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코로나19를 경험한 전환기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대한 잠재집단 분류와 전이 영향: 잠재전이분석을 적용하여

이용수 28

영문명
Latent group Classification and Transfer Effects on School Adaptation of Transitional Youth Who Experienced COVID-19: Applying Latent Transition Analysis
발행기관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저자명
이연숙(Yeonsook Lee) 박종효(Jonghyo Park)
간행물 정보
『교육문제연구』第93輯, 31~66쪽, 전체 3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1.30
7,1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코로나19라는 재난과 학교급 전환기를 동시에 겪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이들의 학교적응 전이유형을 밝히고 전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종단적으로 살펴보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한국아동·청소년패널2018에서 2018년(중1), 2020년(중3), 2022년(고2) 자료를 활용해 잠재전이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중1의 학교적응 프로파일은 4개(교사관계 중심 부적응, 부적응, 낮은 적응, 높은 적응), 중3은 3개(부적응, 낮은 적응, 높은 적응), 고2는 4개(학업 중심 부적응, 부적응, 낮은 적응, 높은 적응) 유형이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 학교적응의 전이는 3개 모형으로 나타났으며, 12개의 대표 전이유형이 도출되었다. 셋째, 개인 및 학교특성, 부모의 애정적·자율적 양육 태도, 학습무기력이 중1, 중3, 고2 시기의 학교적응 전이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전환기 청소년이 어떠한 발달 과정을 거쳐 학교 적응 혹은 부적응으로 이어지는지를 규명함으로써 학교적응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한 데 의의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patterns of school adaptation transition among adolescents who experienced both the COVID-19 pandemic and a school level transition, and to longitudinally examine the factors influencing this transition. To this end, latent transition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data from the 2018 Korean Children and Youth Panel Survey for 2018 (first year of middle school), 2020 (third year of middle school), and 2022 (second year of high school). The study found that, first, school adaptation profiles were identified as four types in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teacher relationship-centered maladjustment, maladjustment, low adaptation, high adaptation), three types in the third year of middle school (maladjustment, low adaptation, high adaptation), and four types in the second year of high school (academic-centered maladjustment, maladjustment, low adaptation, high adaptation). Second, the transfer patterns of adolescent school adaptation were represented by three models, and 12 representative transition types were derived. Third, individual and school characteristics, parents' affectionate and autonomous parenting attitudes, and academic apathy were confirmed to influence school adaptation transfers during the first, third, and second years. This study is significant as it provides basic data on school adaptation by clarifying the developmental processes through which transitional adolescents either adapt to or become maladjusted in school.

목차

Ⅰ. 서론
Ⅱ. 선행연구 분석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연숙(Yeonsook Lee),박종효(Jonghyo Park). (2024).코로나19를 경험한 전환기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대한 잠재집단 분류와 전이 영향: 잠재전이분석을 적용하여. 교육문제연구, (), 31-66

MLA

이연숙(Yeonsook Lee),박종효(Jonghyo Park). "코로나19를 경험한 전환기 청소년의 학교적응에 대한 잠재집단 분류와 전이 영향: 잠재전이분석을 적용하여." 교육문제연구, (2024): 31-6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