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학교상담자의 윤리적 갈등과 대처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이용수 215

영문명
A Qualitative Meta-analysis of Ethical Conflicts and Coping Experiences of School Counselors
발행기관
한국질적탐구학회
저자명
이태영(Taeyoung Lee) 박명숙(Myungsook Park) 김명찬(Myeongchan Kim)
간행물 정보
『질적탐구』제10권 제3호, 217~246쪽, 전체 30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9.30
6,40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상담자가 윤리적 갈등상황과 대처 경험을 마주하면서 심리 내·외적으로 무엇을 경험했는지를 고찰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학교상담자의 윤리적 갈등과 대처 경험을 다룬 7편의 질적 연구를 대상으로 질적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질적 메타분석은 질적으로 수행된 개별 연구들의 결과와 논의를 종합하여, 개별 연구물을 관통하는 주제와 확장된 해석을 도출하는 연구 방법이다. 분석대상 논문의 자료코딩 및 핵심 진술문 작성, 개별 연구 간 교차 비교·분석, 중심 개념과 기술적 주제 도출, 종합적 주제와 결과 도출 및 도식화 과정을 거쳐 학교상담자의 윤리적 갈등과 대처 경험을 서술하였다. 분석 결과, 18개의 기술적 주제와 3개의 종합적 주제, 1개의 핵심 주제를 도출하였다. 학교상담자는 ‘학교상담자가 가야 할 험난한 길’에서 필연적으로 윤리적 갈등을 경험하며 ‘함께 살아가는 방법을 모색함’으로써 윤리적 성장을 지향하고 있었으며, ‘구조적 변화를 촉구함’으로 제도적 방안 마련을 주장하고 있었다. 핵심 주제는 ‘마땅히 짊어져야 할 보편적 불확실성과 모호함에 온전히 머무르기’로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그 의미를 논의하고 연구의 의의, 학교상담을 위한 시사점과 제한점을 제시하고 후속 연구를 위해 제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가 학교상담자의 윤리적 갈등과 대처 경험에 대한 유의미한 해석과 학교상담법 제정의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school counselors experienced both inside and outside of psychology while encountering ethical conflicts and coping experiences. To this end, a qualitative meta-analysis was conducted on seven qualitative studies addressing the ethical conflicts and coping experiences of school counselors. Qualitative meta-analysis is a research method that synthesizes the results and discussions of individual qualitative studies to derive overarching themes and extended interpretations that permeate the individual studies. The ethical conflict and coping experiences of school counselors were described through the process of data coding and preparation of key statements from the analyzed papers, cross-comparative analysis of individual studies, derivation of central concepts and descriptive topics, and derivation and visualization of comprehensive topics and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18 descriptive topics, 3 comprehensive topics, and 1 core topic were derived. School counselors, inevitably experiencing ethical conflicts on the “challenging path that school counselors must take,” were aiming for ethical growth by “seeking ways to coexist” and insisted on preparing institutional measures by “calling for structural changes.” The core topic was derived as “fully residing in the universal uncertainty and ambiguity that must be shouldered.” Based on these results, the meaning of the findings was discussed, along with the significanc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for school counseling, and suggestions for follow-up research were presented. It is hope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providing meaningful interpretations of school counselors' ethical conflicts and coping experiences and foundational data for the establishment of school counseling legislation.

목차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III. 연구 방법
IV. 연구 결과
V.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이태영(Taeyoung Lee),박명숙(Myungsook Park),김명찬(Myeongchan Kim). (2024).학교상담자의 윤리적 갈등과 대처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질적탐구, 10 (3), 217-246

MLA

이태영(Taeyoung Lee),박명숙(Myungsook Park),김명찬(Myeongchan Kim). "학교상담자의 윤리적 갈등과 대처 경험에 대한 질적 메타분석." 질적탐구, 10.3(2024): 217-2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