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시대별 한국 고문서의 종류와 의의
이용수 0
- 영문명
- Types and Definitions of Hangeul ancient documents
- 발행기관
- 원광대학교 동양학대학원
- 저자명
- 오선희(Seon-Hui Oh)
- 간행물 정보
- 『동양학연구』제13집, 25~45쪽, 전체 21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역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7.02.28
5,3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한글 고문서는 실용적인 목적을 위해 형식적 요건을 갖추어 작성된 것으로, 成冊되지 않은 낱장의 옛날 기록물을 말하며, 종류로는 관부문서와 사인문서, 그리고 기록물 등이 있다. 이러한 고문서에 쓰여진 한글은 궁체 · 판본체 · 민체 등 다양한 서체로 쓰여져 있어서 한글서예 변천사에 중요한 자료적 가치가 있으며, 서체의 특징을 규명하는 연구는 매우 절실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연구범위를 발급 시기에 따라 17 · 18 · 19세기로 분류하여 시기별 서체 특징과 유행 서체와의 상관성을 밝히고자 하였으며, 연구대상으로는 관부문서와 사인문서 중에서 수급자와 발급자가 정확하게 기재되어 있고, 연대 추정이 가능하며, 낱장으로 된 필사체의 매매문서를 대상으로 하였다.
한글 고문서의 서체 중에는 궁체 중의 정자체와 흘림체, 민체가 다양한 서풍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정자체는 『옥원듕회연』의 서풍과 비교하였으며, 흘림체는 『낙셩비룡』과 비교 분석하였고, 고문서 중 민체에 가까운 서풍은 당대에 유행했던 고전소설 중의 방각본과 필사본의 다양한 서풍과 비교 분석하여 그 특징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Hangeul ancient documents are written with an formal requisite for practical purpose and are a sheet of old documentary that was not made into a book. And Hangeul ancient documents include official documents, private documents and documentary so on. Hangeul that written on these ancient documents are written with various fonts including Gung style(宮體) · Panbon style(板本體) · Min style(民體). Therefore, it has a important value as a reference in history of Hangeul calligraphy And the study inquiring the feature of font is very desperate. Therefore, in this paper, I tried to find a correlation between popular font and feature of font by period sorting range of the study into 17th · 18th · 19th century by the time when it was issued. And an object of the study is that receiver and issuer are written accurately among official documents and private documents, documents that can be dated and a sheet of sales documents written by minuscule. Block letters and cursive style of Gung style and Min style among the font of Hangeul ancient documents appear in various style. I compared block letter with a calligraphic style of and cursive style with a calligraphic style of . The style of calligraphy in ancient documents which is close to Min style was compared with various style of calligraphy of Banggak novel and minuscule which were popular at that time to reveal its characteristics.
목차
Ⅰ. 머리말
Ⅱ. 시대별 한글 古文書 종류
Ⅲ. 한글 古文書 書體의 意義
Ⅳ. 맺음말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역사학분야 BEST
더보기인문학 > 역사학분야 NEW
- Analysis of Criminal Legal Risks and Response Concepts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the Digital Age
- The Path to Identifying Copyright Attributes of Video Screenshots
- From “Legal Belief” to “Legal Trust” - Analysis of the Theory of Legal Belief and the Negation Theory of Legal Belief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