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특수학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의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편성 실태 분석

이용수 0

영문명
Analysis of the Organization of the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n Special Schools
발행기관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저자명
송승민(SeungMin Song)
간행물 정보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67권 제4호, 69~92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0.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이 연구는 특수학교의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편성 실태를 분석함으로써 향후 적용될 2022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적용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전국 특수학교를 모집단으로 하여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을 적용하는 초등학교 과정 151개교, 중학교 과정 154개교, 고등학교 과정 153개교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특수학교의 기본 교육과정 시수(학점)을 수집한 후 군집분석, 판별분석,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특수학교 초등학교, 중학교 과정은 ‘국가 시수 중심’, ‘창의적 체험활동 중심’ 순으로 구분되었다. 둘째, 특수학교 고등학교 과정은 ‘국가 시수(학점) 중심’, ‘진로와 직업 중심’, ‘창의적 체험활동 중심’, ‘예술중심’ 순으로 구분되었다. 결론: 특수학교는 기본 교육과정을 국가 시수 중심으로 편성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으며, 향후 학생의 특성과 요구를 반영한 학교 교육과정의 개발을 위해 학교의 다양한 구성원, 교육 행정가, 연구자가 함께하는 사례 개발 및확산이 필요하다.

영문 초록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organization of the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in special schools and to suggest implications for the future of the 2022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Method: The study subjects were 151 elementary schools, 154 middle schools, and 153 high schools that applied the Special Education Basic Curriculum, with special schools nationwide as the population. After collecting the Basic Curriculum hours (credits) of special schools, cluster analysis, discriminant analysis, and cross-analysis were performed. Results: First, special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were categorized into ‘compliant with national level curriculum’ and ‘focused on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categories. Second, special high schools were categorized in the following order: ‘compliant with national level curriculum,’ ‘focused on career and vocation,’ ‘focused on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and ‘focused on the arts(music/fine arts)'. Conclusion: Most special schools have organized their Basic Curriculum based on national level curriculum. In order to develop a school curriculum that reflects the characteristics and needs of future stud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disseminate case studies involving various members of the school, educational administrators, and researcher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송승민(SeungMin Song). (2024).특수학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의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편성 실태 분석.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67 (4), 69-92

MLA

송승민(SeungMin Song). "특수학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의 특수교육 기본 교육과정 편성 실태 분석."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67.4(2024): 69-9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