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유아 통합학급의 교사 협력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마르틴 부버의 ‘만남’ 교육사상을 중심으로

이용수 0

영문명
Qualitative Meta-Analysis of Teacher Collaboration in Early Childhood Inclusive Classrooms - Focusing on Martin Buber’s Educational Philosophy of ‘Encounter’
발행기관
한국지체.중복.건강장애교육학회
저자명
강성리(Seong-Ri Kang)
간행물 정보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제67권 제4호, 119~142쪽, 전체 24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10.31
5,6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연구목적: 본 연구는 유아 통합학급의 교사 협력에 관한 현상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하여 협력에 대한 교사개인의 경험과 이와 더불어 나타난 현상과 맥락을 마르틴 부버가 제시하는 관계의 틀을 통하여 재해석하고 종합적인 관점에서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이를 위하여 유아통합환경의 교사 협력에 대한 연구물 8편을 선정하여 Noblit과 Hare(1988)가 제시하는 질적 메타분석의 7단계에 기반하여 질적 메타분석을 수행하였다. 연구결과: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통합환경은 필연적으로 ‘다름’에서 시작되는 만남이다. 만남은교육 이전에 나타나는 현상이며, 통합이나 협력에 대한 교사의 신념에 차이를 나타낸다. 교사들은 서로를 개방하며 불편함을 경험하였고, 협력의 걸림돌이 되는 환경적인 요소들이 있음을 자각하였다. 둘째, 유아통합 환경에서 교사 협력은 ‘열어놓음- 차이를 넘어서는 과정’을 경험하였다. 협력은 나를 ‘열어 놓음(친밀감, 유대관계형성)’에서 시작되고, 통합학급에서 포용(inclusion)은 소통와 서로의 관점(교육관, 아동관)을 이해하는 것으로가능하며, 협력자로 자신의 역할을 재정립하게 된다. 셋째, 유아통합환경에서 교사 협력은 ‘나-그것의 관계에서나-너의 관계로 전환’하는 것을 의미한다. 교사들은 협력을 통해 포용의 과정을 체감하고 파트너쉽을 발휘한다. 결론: 본 연구는 유아 통합학급의 협력 교수에 대한 연구물에 나타난 교사의 경험과 상황적 맥락에 대한 심층적인이해를 도모하고, 협력 교수 적용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데 기여한다.

영문 초록

Purpose: This study aimed to provide a comprehensive examination of the phenomena surrounding teacher collaboration in early childhood inclusive classrooms. It sought to reinterpret individual teachers’ experiences of collaboration along with the accompanying phenomena and contexts through the framework of relationships proposed by Martin Buber and to explore these aspects from a comprehensive perspective. Method: To accomplish this, a qualitative meta-analysis was conducted, utilizing eight selected studies on teacher collaboration in early childhood inclusive environments, following the seven stages of qualitative meta-synthesis proposed by Noblit and Hare (1988). Resul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arly childhood inclusive environments inherently begin with an “encounter” characterized by difference. This encounter is a phenomenon that appears prior to education and reveals variations in teachers’ beliefs about inclusion and collaboration. Teachers experienced discomfort as they opened up to one another and became aware of the environmental factors that hinder collaboration. Second, teacher collaboration in early childhood inclusive environments involves the experience of ‘opening up—a process of transcending differences.’ Collaboration begins with ‘opening oneself up’, and inclusion in inclusive classrooms becomes possible through communication and mutual understanding of each other’s perspectives, leading teachers to redefine their roles as collaborators. Third, teacher collaboration in early childhood inclusive environments signifies a transition from an ‘I-It’ relationship to an ‘I-Thou’ relationship. Through collaboration, teachers experience the process of inclusion and demonstrate partnership. Conclusion: This study enhances the understanding of teachers’ experiences and the contextual factors highlighted in research on collaborative teaching in early childhood inclusive classrooms, offering insights for the application of collaborative teaching practice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 방법
Ⅲ. 연구 결과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강성리(Seong-Ri Kang). (2024).유아 통합학급의 교사 협력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마르틴 부버의 ‘만남’ 교육사상을 중심으로.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67 (4), 119-142

MLA

강성리(Seong-Ri Kang). "유아 통합학급의 교사 협력에 관한 질적 메타분석: 마르틴 부버의 ‘만남’ 교육사상을 중심으로." 지체.중복.건강장애연구, 67.4(2024): 119-142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