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형사사법절차에서 피해자재판절차진술권의 제 문제와 개선방안
이용수 46
- 영문명
- The Issues and Improvement Measures of the Victim’s Right to Testify in Criminal Justice Proceedings
- 발행기관
- 한국피해자학회
- 저자명
- 신진희(Jin-Hee SHIN)
- 간행물 정보
- 『피해자학연구』제32권 제2호, 161~190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수사단계에서 통지문제로 피해자 진술권 행사가 어렵고, 경찰의 불송치결정에 대한 이의신청절차에서 고발인이 제외되어 아동 또는 장애인 대상 성폭력 사건이나 학대 사건에서 피해자의 권익침해 문제가 발생한다. 형사소송법에는 고소인 등 피해자의 증거보전청구권에 대한 일반 규정이 없다. 형사소송법에는 피해자에 대한 구속 전 피의자 심문기일 통지규정이 없다. 구속 전 피의자 심문절차에는 피해자변호사의 출석 및 의견진술권 규정만 있을 뿐이다. 보증금납입조건부 석방 시 피해자에 대한 위해 우려 등이 고려사항임에도 불구하고 구속적부심절차에서는 피해자 의사확인절차에 관한 규정이 없다. 구약식 절차가 정식재판으로 넘어가더라도 피해자가 아무런 통지를 받지 못한다. 기록열람등사권 관련하여 입법시도가 있으나 입법되지 못하였다. 피고인이 국민참여재판신청한 경우 피해자에게 통지되지 않고 의사확인절차규정이 없다. 공판절차에서 형사소송규칙상 피해자 의견진술권에는 피해자를 보호하는 비공개 및 피고인 퇴정에 관한 규정이 없다. 보석절차에 대한 통지 및 의견진술 기회를 보장하는 명문 규정이 없다. 기습공탁에 대한 피해자 의견확인절차에 대한 명문의 규정이 없다. 형사사법절차에서 피해자재판절차진술권 실질화를 위하여 형사소송법에 피해자의 개념에 대한 일반 규정을 두어 피해자의 법적 지위를 정립할 필요가 있고, 형사소송법에 피해자 국선변호사 선정대상, 선정요건 및 절차 등에 대한 일반 규정을 마련하고, 범죄피해자 참가제도를 입법화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Due to notification issues during the investigation stage, it is difficult for victims to exercise their right to testify, and in the procedure for filing an objection to the police’s decision not to forward the case, the complainant is excluded, leading to the infringement of victims' rights in cases of sexual violence or abuse involving children or people with disabilities. The Criminal Procedure Act does not contain general provisions regarding the right of victims, such as complainants, to request evidence preservation. There is also no provision in the Criminal Procedure Act for notifying victims of the date of the pre-detention suspect interrogation. The pre-detention suspect interrogation procedure only includes provisions for the attendance of the victim's lawyer and the right to express opinions. Despite the consideration of the risk of harm to the victim in cases of release on bail, the procedure for reviewing the validity of detention does not include a provision for confirming the victim's intention. Even if a summary trial proceeds to a formal trial, the victim is not notified. Legislative attempts have been made regarding the right to access and copy records, but these have not been successful. When a defendant requests a jury trial, there is no regulation for notifying the victim or confirming the victim's intention. In the trial process, the victim's right to express opinions according to the Criminal Procedure Rules does not include provisions for protecting the victim, such as non-disclosure or the exclusion of the defendant. There is no explicit regulation ensuring notification and the opportunity to express opinions in bail procedures. There is also no explicit regulation regarding the procedure for confirming the victim's opinion in the case of a surprise deposit. To substantiate the victim’s right to testify in the criminal justice proces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general provisions in the Criminal Procedure Act defining the concept of the victim and establishing the victim's legal status.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general provisions regarding the criteria, qualifications, and procedures for appointing court-appointed counsel for victims, and to legislate a system for victim participation in criminal proceedings.
목차
Ⅰ. 서론
Ⅱ. 피해자재판절차진술권의 법적 근거
Ⅲ. 피해자재판절차진술권 관련 실무상 문제점
Ⅳ. 피해자재판절차진술권 실질화 방안
Ⅴ. 결어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위법성조각사유의 요건(전제)사실의 착오와 피해자 - 과실처벌설의 문제점을 중심으로
- 범죄피해자 권리의 헌법적 보장의 의의 - 범죄피해자구조청구권을 중심으로
- 프랑스·독일·일본에서의 범죄피해자의 형사절차 참가제도와 우리나라에 대한 시사점
- 형사실체법에서 법익개념과 피해자의 지위 - 해악의 원칙: 형사입법의 제한에 피해자는 기여하는가?
- 형사절차상 범죄피해자 권리에 대한 수사경찰관의 인지도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 아동보호 목적에 부합하는 아동학대 초기대응 및 피해자지원에 대한 소고
- 사이버폭력 실태 및 피해자 보호 강화 방안 - 사이버 불링(Cyber-bullying)을 중심으로
- 양형과 피해자
- 형사사법절차에서 피해자재판절차진술권의 제 문제와 개선방안
- 피해자변호사제도에 대한 소고
- 형사절차에서 범죄피해자 지위의 재정립
- 피해자 진술 제도를 둘러싼 영미권의 논쟁과 그 정책적 함의
- 주식을 이용한 사기 피해 방지방안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NEW
- 가상자산(암호화폐 등)의 법적 성질과 민사집행
- 부당한 장래적 판례변경 - 대법원 2024. 12. 19. 선고 2020다247190, 2023다302838 전원합의체 판결
- 소송법상 특별대리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