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양형과 피해자
이용수 38
- 영문명
- Sentencing and the Victim of Crime
- 발행기관
- 한국피해자학회
- 저자명
- 최준혁(Jun-Hyouk CHOI)
- 간행물 정보
- 『피해자학연구』제32권 제2호, 53~86쪽, 전체 34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6,8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헌법은 범죄피해자의 재판절차 진술권과 구조청구권을 규정하여 범죄피해자의 권리를 기본권의 차원에서 보장하고 있으며, 형사절차에서 피해자의 권리를 보장할 필요성은 실무에서 구체적인 사건에 대한 판단을 할 때 중요한 기준으로 사용되고 있다. 특히 최근 판결에서는 ① 양형기준의 정비 및 그를 통한 처벌불원과 합의의 내용변경, ② 새로 시행된 형사공탁제도, ③ 소추조건과 양형인자의 구분 및 관계 등이 문제가 된다.
전통적으로 형법은 범죄자에 대해 관심을 기울였을 뿐 피해자 및 그의 상태는 주된 관심사가 아니었고 형벌이론에 관한 논의에서도 피해자가 간과되었던 상황을 해결하기 위해 ‘회복적 사법’의 논의를 끌어들이는 경우가 종종 있으나, 범죄를 상호승인관계의 침해로 보는 관점 또는 형벌론에서의 적극적 일반예방이론을 통해서도 피해자의 지위를 확보할 수 있다.
그러나 양형에 관한 형법과 법원조직법의 규정을 보면, 양형에서 피해회복을 고려하는 것은 특별예방의 관점에서 정당화할 수 있으며, 합의 또는 공탁도 피해회복과의 관계에서 의미가 있다고 보아야 한다.
먼저, 처벌불원이 특별감경인자인 이유는 2021도11126 전원합의체 판결의 입장처럼 ‘소추조건과 양형인자가 구별되기 때문’ 또는 형사절차에서 행위자의 처벌을 원하거나 원하지 않는다는 피해자의 의사가 결정적이라서이기보다는 행위자가 (기망이나 강제력 행사를 제외한) 어떠한 방법으로든 피해자의 처벌불원의사를 끌어냈다는 점이 형법 제51조 제4호 및 법원조직법 제81조의6의 범행 후의 정황에 해당하여 예방적 관점에서 형의 감경이 정당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공탁과 관련해서도, 공탁의 본질은 가해자와 피해자의 의견이 합치하지 않을 때 활용하는 제도로서 법원의 주된 관심은 피해가 어느 정도 가해자에 의해 회복되었는지이며 양형에 고려되는 대상은 처벌불원의 의사가 아니라 피해회복이다.
영문 초록
CONSTITU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ensures the rights of crime victims at the fundamental rights level by stipulating the right to make statements during judicial proceedings and the right to claim assistance. The necessity of guaranteeing the rights of victims in criminal procedures is an important criterion used in practice when making judgments on specific cases nowadays. Particularly in recent rulings, issues include: ① the revision of sentencing guidelines and changes in the content of ‘non-prosecution requests’ and ‘agreements’ through these revisions, ② the newly implemented criminal deposit, and ③ the distinction and relationship between prosecution conditions and sentencing factors.
Traditionally, criminal law has focused on offenders, with victims and their conditions not being a primary concern. Discussions on penal theory have often overlooked victims. To address this, the concept of “restorative justice” is sometimes introduced. However, the status of victims can also be secured through perspectives that view crime as a violation of mutual recognition relationships or through the positive general prevention theory in penal theory.
However, considering the provisions of the Criminal Act and the Court Organization Act regarding sentencing, taking victim recovery into account during sentencing can be justified from the perspective of special prevention. Additionally, agreements or deposits should also be seen as meaningful in relation to victim recovery.
목차
Ⅰ. 들어가며
Ⅱ. 피해자와 형벌
Ⅲ. 피해자와 양형
Ⅳ. 맺으며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위법성조각사유의 요건(전제)사실의 착오와 피해자 - 과실처벌설의 문제점을 중심으로
- 범죄피해자 권리의 헌법적 보장의 의의 - 범죄피해자구조청구권을 중심으로
- 프랑스·독일·일본에서의 범죄피해자의 형사절차 참가제도와 우리나라에 대한 시사점
- 형사실체법에서 법익개념과 피해자의 지위 - 해악의 원칙: 형사입법의 제한에 피해자는 기여하는가?
- 형사절차상 범죄피해자 권리에 대한 수사경찰관의 인지도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 아동보호 목적에 부합하는 아동학대 초기대응 및 피해자지원에 대한 소고
- 사이버폭력 실태 및 피해자 보호 강화 방안 - 사이버 불링(Cyber-bullying)을 중심으로
- 양형과 피해자
- 형사사법절차에서 피해자재판절차진술권의 제 문제와 개선방안
- 피해자변호사제도에 대한 소고
- 형사절차에서 범죄피해자 지위의 재정립
- 피해자 진술 제도를 둘러싼 영미권의 논쟁과 그 정책적 함의
- 주식을 이용한 사기 피해 방지방안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NEW
- 가상자산(암호화폐 등)의 법적 성질과 민사집행
- 부당한 장래적 판례변경 - 대법원 2024. 12. 19. 선고 2020다247190, 2023다302838 전원합의체 판결
- 소송법상 특별대리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