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범죄피해자 권리의 헌법적 보장의 의의 - 범죄피해자구조청구권을 중심으로
이용수 26
- 영문명
- The Significance of Constitutional Protection of Crime Victims’ Rights - Focusing on the Right to Claim Crime Victim Compensation
- 발행기관
- 한국피해자학회
- 저자명
- 안성훈(Sunghoon AN)
- 간행물 정보
- 『피해자학연구』제32권 제2호, 27~52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5,92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국가가 범죄피해자에게 지급하는 구조금은 범죄행위로 사망하거나 장해 또는 중상해를 입었음에도 불구하고 범죄 피해의 전부 또는 일부를 보상받지 못하는 등의 사유가 발생한 경우에 국가에서 피해자 또는 유족에게 일정 한도에서 지급하는 금전적 지원으로 범죄피해자의 헌법상 권리에 근거하여 지급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도의 취지를 고려한다면, 법원의 가해자 구상금 변제에 대한 양형상의 고려는 이해할 수 없는 판단이다.
이에 범죄피해자의 권리 보호와 헌법적 보장의 중요성을 다루고자 한다. 특히, 범죄피해자구조청구권의 도입과 그 의의에 대해 중점적으로 분석한다. 여러 판례를 통해 범죄피해자 보호 제도의 현황과 문제점을 검토하고, 범죄피해자의 기본권 보장을 위한 국가의 의무와 역할을 논의한다. 범죄피해자구조청구권이 범죄피해자의 인권 보호를 위한 헌법적 권리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법적·제도적 보완책의 필요성을 제시하며, 이를 통해 범죄피해자의 권리가 실질적으로 보호받을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한다.
영문 초록
The state's compensation for crime victims is a financial support provided to victims or their families in cases where the victims have died, sustained disabilities, or suffered severe injuries due to criminal acts, and have not been fully or partially compensated for their damages. This support is given based on the constitutional rights of crime victims. Considering the purpose of this system, the court's consideration of the offender's repayment of the compensation as a mitigating factor in sentencing is an incomprehensible judgment. This paper addresses the importance of protecting the rights of crime victims and their constitutional guarantees. It focuses on the introduction and significance of the crime victim compensation claim. By examining various case laws, the paper reviews the current state and issues of the crime victim protection system and discusses the obligations and roles of the state in ensuring the fundamental rights of crime victims. The necessity of legal and institutional remedies is emphasized to establish the crime victim compensation claim as a constitutional right for the protection of crime victims' human rights. The paper aims to explore measures to ensure that the rights of crime victims are substantively protected.
목차
1. 대상 판례
2. 문제상황
3. 범죄피해자의 기본권과 국가의 보장 의무
4. 헌법상 범죄피해자의 기본권으로서 범죄피해자구조청구권
5. 문제상황에 대한 검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위법성조각사유의 요건(전제)사실의 착오와 피해자 - 과실처벌설의 문제점을 중심으로
- 범죄피해자 권리의 헌법적 보장의 의의 - 범죄피해자구조청구권을 중심으로
- 프랑스·독일·일본에서의 범죄피해자의 형사절차 참가제도와 우리나라에 대한 시사점
- 형사실체법에서 법익개념과 피해자의 지위 - 해악의 원칙: 형사입법의 제한에 피해자는 기여하는가?
- 형사절차상 범죄피해자 권리에 대한 수사경찰관의 인지도 측정도구 개발 및 타당화
- 아동보호 목적에 부합하는 아동학대 초기대응 및 피해자지원에 대한 소고
- 사이버폭력 실태 및 피해자 보호 강화 방안 - 사이버 불링(Cyber-bullying)을 중심으로
- 양형과 피해자
- 형사사법절차에서 피해자재판절차진술권의 제 문제와 개선방안
- 피해자변호사제도에 대한 소고
- 형사절차에서 범죄피해자 지위의 재정립
- 피해자 진술 제도를 둘러싼 영미권의 논쟁과 그 정책적 함의
- 주식을 이용한 사기 피해 방지방안에 관한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법학 > 법학분야 NEW
- 가상자산(암호화폐 등)의 법적 성질과 민사집행
- 부당한 장래적 판례변경 - 대법원 2024. 12. 19. 선고 2020다247190, 2023다302838 전원합의체 판결
- 소송법상 특별대리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