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수출함수를 이용한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에 대한 실증분석

이용수 0

영문명
An Empirical Analysis of Korea's Agri-Food Exports Using the Export Function
발행기관
한국통상정보학회
저자명
박현희(Hyun-Hee Park)
간행물 정보
『통상정보연구』제26권 제3호, 259~277쪽, 전체 19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무역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9.30
5,08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세계경제의 불확실성과 글로벌공급망이 위협받는 가운데 글로벌 식량가격 인상과 공급망 불안정으로 식량안보에 대한 우려도 제기되는 상황에서 우리나라 농업이 새로운 수출산업으로 육성될 수 있도록 경쟁력 강화를 위한 방안 모색이 필요하다. 우리나라 K-Food(농식품) 산업은 대외여건의 어려운 상황하에서도 2023년 121억 달러로 역대 최고 수출실적을 달성했고 우리나라 주요 수출산업 중 12대 수출 산업 지위를 가지게 되었다. 농식품 부문의 성장은 단순히 해외시장 진출효과를 넘어 국내 농가소득 제고와 지속가능한 농업에도 기여하고 있어 국내 생산, 부가가치 및 일자리 창출 측면에서도 국가 경제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의 지속적인 증대를 위하여 농식품에 수출수요와 수출공급요인을 전체수출과 농식품 수출, 신선식품과 가공식품 수출로 대비하여 수요요인과 공급요인을 비교분석 해보았다. 분석기간은 2013년부터 2022년까지 우리나라의 주요수출국 5개국과 3개의 주요 경제권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패널분석을 실시했다. 분석결과를 종합해 보면 우리나라 수출재에 대한 교역상대국의 소득이나 경제성장률, 수출가격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으나 가공식품보다는 신선식품이 교역상대국의 소득에 더 영향을 받으며 가공식품은 가격에 더 영향을 받는 다는 결과를 보여주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공급에는 농업부분에 대한 연구개발 투자가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가공식품보다는 신선식품 수출에 더 영향을 준다는 결과를 보이고 있다.

영문 초록

In light of escalating global food prices and the volatility of supply chains, alongside uncertainties within the global economic landscape and potential threats to international supply networks, apprehensions regarding food security have surfaced. Consequently, it is imperative to investigate methodologies for augmenting the competitiveness of South Korea's agricultural sector, thus facilitating its transformation into a burgeoning export industry. Notwithstanding the adverse external conditions, South Korea's K-Food (agricultural and food products) industry attained an unprecedented export milestone of $12.1 billion in 2023, solidifying its status as one of the nation's twelve principal export industries. This research endeavors to examine the factors contributing to the sustained expansion of South Korea's agri-food exports by perform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emand and supply determinants for agri-food exports, delineating between total exports, agri-food exports, fresh produce, and processed food. The timeframe for analysis encompasses the years from 2013 to 2022, concentrating on five of South Korea's primary export destinations and three major economic regions through the application of panel data analysis. The holistic findings reveal that the income levels and economic growth rates of trading partner nations, in addition to export prices, exert a positive impact on South Korea's export performance. Nonetheless, it is observed that fresh food exports exhibit heightened sensitivity to the income levels of trading partners, whereas processed food exports are more substantially influenced by pricing factors. Moreover, investments in research and development (R&D) within the agricultural sector are demonstrated to significantly influence South Korea's agri-food export supply, with a more pronounced effect on fresh food exports relative to processed food export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분석모형의 설정
Ⅳ. 실증분석 결과
Ⅴ.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현희(Hyun-Hee Park). (2024).수출함수를 이용한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에 대한 실증분석. 통상정보연구, 26 (3), 259-277

MLA

박현희(Hyun-Hee Park). "수출함수를 이용한 우리나라 농식품 수출에 대한 실증분석." 통상정보연구, 26.3(2024): 259-27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