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단서유형이 자신 또는 타인을 위한 구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 브랜드 명성과 제품 수명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이용수 41
- 영문명
- Impact of Cue Types on Purchase Intention for Self vs. Others: Exploring the Moderating Roles of Brand Reputation and Product Lifespan
- 발행기관
- 한국소비문화학회
- 저자명
- 위소항(Xiaohang Wei) 전종근(Jongkun Jun)
- 간행물 정보
- 『소비문화연구』제27권 제3호, 89~108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소비 표적(자신을 위한 구매 vs. 타인을 위한 구매)이 단서 유형(희소성 단서 vs. 인기 단서)과 구매 의도의 관계에 미치는 영향이 브랜드 명성과 제품 수명에 따라 어떻게 달라지는지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두 번의 온라인 실험에서 각 240개의 응답 자료를 수집 및 분석하였다.
실험 1은 단서 유형, 소비 표적, 브랜드 명성 간의 삼원 상호작용 효과가 구매 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했다. 분석 결과, 브랜드 명성이 높을 때, 자신을 위한 구매 상황에서 희소성 단서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이 더 강화되었다. 또한, 브랜드 명성이 높을 때, 타인을 위한 구매 상황에서 인기 단서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도 더 강화되었다.
실험 2는 단서 유형, 소비 표적, 제품 수명 간의 삼원 상호작용에 초점을 맞췄다. 수명이 짧은 제품의 경우, 자신을 위한 구매 상황에서 희소성 단서의 긍정적인 영향이 더 강화되었다. 또한 수명이 짧은 제품의 경우, 타인을 위한 구매 상황에서 인기 단서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긍정적 영향이 더 강화되었다.
이 연구는 마케팅 분야에서 희소성 및 인기 단서에 관한 기존 연구에 새로운 관점을 제공하며 판매자들에게 유용한 시사점을 제공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nalyzed how the impact of consumption target (purchasing for oneself vs. purchasing for other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cue type (scarcity cue vs. popularity cue) and purchase intention varies according to brand reputation and product lifespan. For this purpose, data from two online experiments were collected and analyzed, with each experiment comprising 240 responses.
Experiment 1 investigated the three-way interaction effect among cue type, consumption target, and brand reputation on purchase intention. The results showed that when brand reputation is high, the positive impact of scarcity cues on purchase intention is stronger when purchasing for oneself. Additionally, when brand reputation is high, the positive impact of popularity cues on purchase intention is also stronger when purchasing for someone else.
Experiment 2 focused on the three-way interaction among cue type, consumption target, and product lifespan. For products with a short lifespan, the positive impact of scarcity cues was found to be stronger when purchasing for oneself. Additionally, for products with a short lifespan, the positive impact of popularity cues on purchase intentions was found to be stronger when purchasing for someone else.
This study offers a new perspective to existing research on scarcity and popularity cues, especially in the field of marketing, and is expected to provide useful insights for seller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문헌 연구
Ⅲ. 가설 설정
Ⅳ. 실험1
Ⅴ. 실험 2
Ⅵ. 결 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의미차별화방법에 의한 육류 이미지 척도 개발: 기존육류, 식물성 대체육, 배양육
- Personalized Technology Services for In-store Shopping
- Positive Outcomes of Attachment toward Smartphone Applications
- 삶의 상실감이 소비자 선택에 미치는 영향: 중장년층과 젊은 층의 비교
- 단서유형이 자신 또는 타인을 위한 구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 브랜드 명성과 제품 수명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어린이 기업가정신교육을 위한 그림동화의 활용성 탐색
- 주목 유창성이 브랜드 연상과 평가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 지식의 조절효과
- 육아용품 산업에서 플랫폼의 사용후기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플랫폼 애착의 매개효과와 육아경험의 조절된 매개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