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의미차별화방법에 의한 육류 이미지 척도 개발: 기존육류, 식물성 대체육, 배양육

이용수 90

영문명
Development of a Meat Image Scale Using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Conventional Meat, Plant-Based Meat, and Cultured Meat
발행기관
한국소비문화학회
저자명
송여원(Yeowon Song) 김건하(Geonha Kim)
간행물 정보
『소비문화연구』제27권 제3호, 21~46쪽, 전체 26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9.30
5,9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미래 인구 증가와 지구온난화 등의 환경문제로 인해 세계적인 식량 부족 사태가 예견되고 있다. 현재의 식량 생산 시스템은 환경 문제의 주요 원인으로 지목되어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해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한 실정이다. 특히, 육류 수요의 증가는 전통적인 축산업의 환경 오염과 자원 소모 문제로 인해 식물성 대체육과 배양육 같은 대안 식품의 등장을 촉발시켰다. 이러한 변화는 소비자들에게 다양한 육류 선택 기회를 제공하며, 식문화와 육류 소비 행동에 변화를 가져올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육류에 대한 소비자 이미지를 파악하고 비교 분석할 필요가 있다. 기존 연구들은 주로 기술적 생산 동향이나 시장 규모에 집중되어 있으며, 소비자 인식 및 수용도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하다. 본 연구는 Osgood의 의미차별화방법을 활용하여 다양한 육류 간 이미지 차이를 비교할 수 있는 척도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소비자가 느끼는 육류 이미지는 혁신성, 거부감, 미각성, 시미성, 심미성의 다섯 가지 차원으로 축소되었다. 각 요인별로 육류 간 차이를 분석한 결과, 배양육 닭고기는 혁신성에서 가장 높았고, 배양육 소고기는 거부감에서, 기존육류 돼지고기는 미각성과 시미성에서, 배양육 돼지고기는 심미성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육류 이미지 비교 척도는 학술적으로는 식품 간 이미지 비교 연구에 기여할 수 있으며, 실무적으로는 육류 다양성이 증가하는 환경에서 효과적인 마케팅 전략 수립과 정부의 미래 식량 정책 수립에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Global food shortages are predicted due to population growth and environmental issues. The current food production system necessitates fundamental changes for sustainable development. The increase in meat demand has led to alternative foods like plant-based and cultured meat. These changes provide consumers with diverse meat choices and can alter food culture and consumption behavior. This study aimed to develop a scale comparing image differences between various meat types using Osgood's Semantic Differential Method. Consumer perception of meat was reduced to five dimensions: innovativeness, aversion, gustatory perception, visual-taste perception, and aesthetic perception. Cultured chicken scored highest in innovativeness, cultured beef in aversion, conventional pork in gustatory and visual-taste perception, and cultured pork in aesthetic perception. The developed scale can contribute to comparative food image studies and provide implications for marketing strategies and food policies in an increasingly diverse meat market.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Ⅲ. 척도개발 및 실증분석
Ⅳ. 결론 및 시사점
Ⅴ.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과제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송여원(Yeowon Song),김건하(Geonha Kim). (2024).의미차별화방법에 의한 육류 이미지 척도 개발: 기존육류, 식물성 대체육, 배양육. 소비문화연구, 27 (3), 21-46

MLA

송여원(Yeowon Song),김건하(Geonha Kim). "의미차별화방법에 의한 육류 이미지 척도 개발: 기존육류, 식물성 대체육, 배양육." 소비문화연구, 27.3(2024): 21-46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