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Positive Outcomes of Attachment toward Smartphone Applications
이용수 45
-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소비문화학회
- 저자명
- 전미나(Mina Jun) 김미예(Miyea Kim) 한정수(Jeongsoo Han)
- 간행물 정보
- 『소비문화연구』제27권 제3호, 1~1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9.30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선행 연구를 통해 사람들이 가지고 있는 애착은 브랜드 지지 행동과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특히, 강한 애착이 브랜드 지지 행동과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은 마케팅 및 소비자 연구 분야에서 많은 연구가 되어 왔다. 본 연구는 기존 문헌에 근거하여 1) 모 브랜드에 대한 지지 행동, 2) 브랜드 성과 측면에서의 애플리케이션이 포함된 스마트폰 자체에 대한 애착, 3) 삶의 만족 측면에서의 스트레스 해소라는 중요한 결과 변수를 연구 모형에 포함하여 기존의 연구를 확장했다. 이를 위해, 국내의 스마트폰 사용자인 대학생과 직장인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설문은 애플리케이션(SNS 및 메신저, 엔터테인먼트, 교육 및 정보) 종류에 따라 세 가지 유형 구성하였다. 연구 결과,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애착이 브랜드 지지 행동과 자아 효능감을 통한 삶의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기존 연구 결과를 확인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 애착이 모 브랜드 지지 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스마트폰 애착을 촉진하며, 스트레스 해소를 통한 삶의 만족으로 이어진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모바일 사용을 통한 소비자 행동이 삶의 만족도 영역으로 확장될 수 있음을 확인하여, 연구 결과를 학문적, 실무적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영문 초록
It is generally believed that people’s strong attachment has positive effects on their brand support behaviors and life satisfaction. The positive effect of strong attachment on brand supportive behavior and life satisfaction has been well supported in academics in marketing and consumer research. Different from the existing studies, we expand our study to include those important consequence variables; (1) support behavior for parent brand, (2) attachment with smartphone itself that contains the applications, both as part of brand performance, and (3) stress relief as part of life satisfaction. To do so, a survey was conducted to college students and full-time employees who own smartphones in South Korea. The survey consisted of three types of applications (SNS and messenger, entertainment, education and information). We confirmed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the positive effect of attachment with applications on brand supportive behaviour and life satisfaction through self-efficacy. Importantly, attachment with applications positively influences even parent brand supportive behaviour, encourages attachment with smartphone, and leads to life satisfaction through stress relief. Our study may provide contributions academically and practically in the area of mobile consumer behaviour and life satisfaction, since no existing studies have examined the relationships that the current study does.
목차
Ⅰ. Introduction
Ⅱ. Literature review and developing hypotheses
Ⅲ. Research method
Ⅳ. Major results and hypotheses test
Ⅴ. Summary and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의미차별화방법에 의한 육류 이미지 척도 개발: 기존육류, 식물성 대체육, 배양육
- Personalized Technology Services for In-store Shopping
- Positive Outcomes of Attachment toward Smartphone Applications
- 삶의 상실감이 소비자 선택에 미치는 영향: 중장년층과 젊은 층의 비교
- 단서유형이 자신 또는 타인을 위한 구매 행동에 미치는 영향: 브랜드 명성과 제품 수명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어린이 기업가정신교육을 위한 그림동화의 활용성 탐색
- 주목 유창성이 브랜드 연상과 평가에 미치는 영향: 소비자 지식의 조절효과
- 육아용품 산업에서 플랫폼의 사용후기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플랫폼 애착의 매개효과와 육아경험의 조절된 매개효과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BEST
- AI와 디지털 문화 산업의 결합에서 저작권 및 윤리적 규범 준수의 필요성 연구
- 종합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과 조직의사소통만족이 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 임상간호사의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분야 NEW
더보기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