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삶의 상실감이 소비자 선택에 미치는 영향: 중장년층과 젊은 층의 비교

이용수 69

영문명
The Impact of Personal Loss on Consumer Choices: A Comparison between Middle-Aged and Younger Consumers
발행기관
한국소비문화학회
저자명
박기경(Kikyoung Park)
간행물 정보
『소비문화연구』제27권 제3호, 47~67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사회과학일반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9.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일상에서 누구나 건강문제나 경제적 및 사회적 관계 등에서 상실감을 경험한다. 삶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상실감과 관련하여, 본 연구는 개인이 경험한 삶의 상실감이 소비 선택에 미치는 영향을 세대와의 조절효과로 탐구하였다. 중장년층과 젊은 층이 갖는 여러 특성에 기반하여 상실감이 선택 대안의 형태 - 안전대안과 위험대안 - 에 어떻게 달리 반영되는지를 두 가지 실험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첫째, 중장년층 소비자는 상실감을 경험할 경우 안전대안(저수익-저위험 금융상품)을 위험대안(vs. 고수익-고위험 금융상품) 보다 더 선호하고(실험 1), 모브랜드와의 유사성이 낮은 비유사 확장 브랜드를 덜 선호하는 안전지향적 경향을 일관되게 보였다(실험 2). 반면 젊은 소비자는 상실감에 대해 일관된 선택 경향성을 보이지 않았다. 즉, 젊은 층은 상실감을 경험한 경우 위험대안을 선택할 가능성이 높거나(실험 1) 비유사 확장 브랜드 선택에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다(실험 2). 본 연구는 각 세대의 소비 행태를 좌우하는 선행 요인의 하나로서 상실감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고, 이를 통해 기업은 세대별 특성을 반영한 맞춤화된 마케팅 전략을 수립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사회적 차원에서는 세대별 차이를 반영한 정책 및 프로그램 개발에도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Experiencing loss is a part of life, and it often arises from personal challenges in physical and mental health, financial status, and social relationships.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different generations cope with personal life loss and how it influences their consumption choices. By considering the cognitive and emotional traits of younger and older generations, we examine how perceived life loss impacts their choice patterns in two product categories through two experimen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two experiments, first, middle-aged and older consumers tend to prefer safe alternatives like low-risk financial instruments over high-risk ones when experiencing personal loss (Experiment 1). Additionally, they display a consistent orientation which they avoid dissimilar extended brands (Experiment 2). In contrast, younger consumers tend to prefer more risky options when experiencing personal loss (Experiment 1), or show no change in their choice patterns regardless of their loss experience, exhibiting inconsistent choice behavior (Experiment 2). These findings provide a deeper understanding of the factors that drive consumption behavior across different generations, which can help companies develop customized marketing strategies that reflect generational differences.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가설 수립
Ⅳ. 연구방법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박기경(Kikyoung Park). (2024).삶의 상실감이 소비자 선택에 미치는 영향: 중장년층과 젊은 층의 비교. 소비문화연구, 27 (3), 47-67

MLA

박기경(Kikyoung Park). "삶의 상실감이 소비자 선택에 미치는 영향: 중장년층과 젊은 층의 비교." 소비문화연구, 27.3(2024): 47-6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