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원근 투시법으로써 삼원법 해석에 관한 재고찰

이용수 0

영문명
Reconsideration on Interpretation of the ‘Three Distances(三遠法)’ as Perspective
발행기관
한국미술교육학회
저자명
장지성(Ji Seong Jang)
간행물 정보
『미술교육논총』第38券 3號, 1~28쪽, 전체 28쪽
주제분류
예술체육 > 미술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9.30
6,1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미술 교과서에서 산수화의 원근 투시법으로 제시하는 삼원법(三遠法) 해석의 문제점을 고찰하고, 삼원법 원래의 의미를 탐색한 글이다. 미술 교과서에서 삼원법은 서양의 과학적인 원근 투시법과 비교되면서 동양의 관념적인 원근법으로 많이 언급된다. 그러나 삼원법이 원근 투시법으로 이해되기 위해서는 평면에서 거리에 따라 대소 관계의 차이를 나타내는 구체적인 방법이 제시되어야 함에도, 대부분의 미술 교과서는 삼원법을 오로지 시점과 그에 따른 산수의 느낌 변화만을 언급하고 있다. 나아가 그 내용을 학생의 이해 수준을 고려하여 간단하게 줄이거나, 도판 위주로 편집하면서 삼원법에 대한 이해를 더욱 어렵게 만들었다. 이 글은 미술이론서나 미술 용어 사전 등에서 삼원법의 의미를 단편적으로 해석한 것이 미술 교과서에서 삼원법을 원근 투시법으로 인식하게 한 주요 원인이 되었다고 보았다. 이에, 본 연구는 삼원법을 다룬 이론서와 미술 용어사전 그리고 미술 교과서의 내용을 비판적으로 분석하고, 삼원법이 최초로 실린 산수화 화론서인 임천고치(林泉故致) 중 핵심 내용인 산수훈(山水訓)을 맥락적으로 살펴서 삼원법의 의미를 새롭게 고찰하였다. 결론적으로 삼원법은 원근 투시법이 아니라, 은일 문화의 대표적인 표상이라 할 수 있는 산수의 이상적인 모습을 구현하기 위한 대관산수의 세 가지 화면 구성 요소임을 밝혔다.

영문 초록

Traditional art introduced in art textbooks often refers to the ‘Three Distances’ as a unique spatial expression method for landscape painting. The Three Distances is explained in comparison to the perspective of the West, and it is called an ideological perspective of the East compared to the scientific and realistic perspective of the West. In fact, such comparison may lead to misinterpretation of its original meaning or an error if it is not based on an accurate understanding or a review of the subject being compared. The fact that the contents should be summarized and explained in consideration of students’ level of understanding or should be outlined according to artwork-centered editing due to the nature of the art textbooks can also result in incorrect description of the contents. In this regard, the ‘Three Distances’ is the most seriously misinterpreted and misrepresented among the contents related to traditional art in such art textbooks. It is necessary to reconsider whether the ‘Three Distances’ should be regarded as perspective within the common sense in arts textbooks or not. This study examined the problems resulting from the ‘Three Distances’ being incorrectly approached as perspective of the East in art textbooks, which led to various errors in interpretation. In addition, the meaning and value of art theory on the ‘Three Distances’ were newly examined based on literature analysis and empirical knowledge of landscape painting. In conclusion, the ‘Three Distances’ is not a perspective, but is what GuoXi explained the most ideal description of landscape painting through three empirical points of view.

목차

Ⅰ. 서론
Ⅱ. 삼원법에 관한 기존의 해석
Ⅲ. 원근 투시법으로서 삼원법 해석에 관한 두 가지 쟁점
Ⅳ. 산수훈의 맥락에서 본 삼원법의 의미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장지성(Ji Seong Jang). (2024).원근 투시법으로써 삼원법 해석에 관한 재고찰. 미술교육논총, 38 (3), 1-28

MLA

장지성(Ji Seong Jang). "원근 투시법으로써 삼원법 해석에 관한 재고찰." 미술교육논총, 38.3(2024): 1-28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