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몸짓 언어에 기반한 한국어 환유 표현의 교육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Teaching Korean Metonymic Expressions Based on Gesture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정미진(Mijin Jung) 조형일(Hyoungil Zo)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16권 제2호, 283~304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8.30
5,4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언어를 학습한다는 것은 특정한 언어 공동체의 의사소통 양식을 익히 는 것을 말한다. 이는 언어 수업에서 문법이나 어휘 등의 언어적 요소 외에도 부차언어적 요소, 비언어적 요소, 언어외적 요소를 통합적으 로 다루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에서는 몸짓 언어에 기반 한 한국어 환유 표현을 활용하여 언어적, 비언어적 의사소통을 통합 적으로 교수학습하는 것에 해 논의하다. 이를 위해 환유 표현을 선정하여 한국어 고급 학습자를 상으로 이해 및 인식 정도를 조사 하다. 그 결과 첫째, 환유 표현의 바탕이 되는 몸짓 언어에 한 학 습자들의 이해 정도는 다양하게 나타났다. 따라서 학습자의 이해 정 도가 떨어지는 몸짓 언어에 한 명시적인 교수학습이 필요하다는 것 을 알 수 있다. 둘째, 환유 표현이 사용되는 맥락을 추가적으로 제공하 을 때 학습자들은 환유 표현의 의미를 더욱 적절하게 추론해 낼 수 있었다. 이는 환유 표현을 교수학습할 때 환유 표현이 사용되는 맥락 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셋째, 환유 표현에 한 학습자들이 인식 정도는 높지 않았다. 따라서 몸짓 언어, 환유 표현이 사용되는 맥락을 활용하여 환유 표현을 명시적으로 교수학습해야 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twork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16-2, 283-304. Learning a language is learning the communication style of a particular language community. This means that paralinguistic, nonverbal and non-linguistic elements must be integrated with linguistic elements such as grammar and vocabulary in a language class. In this study, we discussed the integrated teaching and learning of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by using the expression of Korean metonymy based on gesture. For this purpose, the metonymic expressions were selected and the degree of understanding and perception was examined for advanced learners of Korean language.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learners’ understanding level of gestures which form the basis of metonymic expressions, varied. Therefore, explicit teaching and learning about gestures, which is less understood by learners, is needed. Second, when the context was additionally provided, learners could infer the meaning of the metonymic expression more appropriately. This means that the context in which metonymy are used can be useful in teaching and learning the expression of the metonymy. Third, learners' perception of metonymic expression was not high.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explicitly teach metonymic expressions by using gesture and context. (Incheon National University)
목차
1. 머리말
2. 비언어적 의사소통 행위의 교육
3. 몸짓 언어에 기반한 환유 표현
4. 한국어 학습자의 이해 및 인식 양상
5. 맺음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문화 교육을 위한 문학 텍스트 활용 방안에 대한 고찰 - 학습자 및 교수자 요구조사를 바탕으로
- 몸짓 언어에 기반한 한국어 환유 표현의 교육 연구
- 고전시가에 표출된 ‘달’ 이미지 비교를 통한 한국 고전문학사 교육 방법 - 중국인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 한국 문화를 교육하는 교사의 태도와 전문성에 대한 연구 - 학습자의 목적에 따른 한국 문화 교사와의 면담을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 현장에서의 스마트러닝 구현을 위한 스마트 교실응답시스템 활용 방안
- 내러티브 기반의 문화 간 의사소통 평가 연구
- 온라인 한국어교원 양성과정의 현황과 과제 - 학위과정의 한국어교육 실습 교과목의 질 관리를 중심으로
- 아동반 한글학교 교사의 민족 정체성 교육에 대한 실태 조사 연구 - 러시아,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을 중심으로
- 러시아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의 한국어 이중모음 오류 분석 - 음절구조 차이 및 구성원료 이론을 바탕으로
- 대학기관 한국어 교사 역량에 대한 인식
- 중앙아시아 출신 유학생들의 한국어 학습 전략에 대한 연구 - 정부초청외국인 대학원 장학생을 중심으로
- 의사소통능력 개념 변화에 대한 일고 - 서구 이론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