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내러티브 기반의 문화 간 의사소통 평가 연구
이용수 1
- 영문명
- Narrative based assessment for intercultural Communication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오지혜(Jihye Oh)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16권 제2호, 171~19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8.30
6,0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한국어 학습자 상의 문화 간 의사소통 평가 도구 개발하 기 위한 방법론을 제안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우선 미국 외국어교육 위원회(ACTFL)에서 제시하고 있는 언어학습자 기술 (ACTFL Performance Descriptors for Language Learners)과 The NCSSFL-ACTFL의 공동 보고서인 'The NCSSFL-ACTFL Can-Do Statements for Intercultural Communication'의 평가 체계 및 기준을 검 토하다. 여기에서는 단계별로 문화 간 의사소통 수행을 탐구하기 (investigate)와 상호작용하기(interact)의 차원으로 구분하고 있다. 탐 구하기의 경우, 산물과 관습을 발견, 비교, 설명, 분석, 평가하는 과정 을 수행 내용으로 삼고 있는데 이는 궁극적으로 산물과 관습에 한 이해를 바탕으로 사고까지 탐구하는 데 목적이 있다고 할 수 있다. 또 한 상호작용하기의 경우, 생존-기능-전문적-복합적-다층적 맥락 및 상 황에서 타문화 출신의 사람들과 소통하는 것을 수행 내용으로 하고 있 다. 다음으로 선행연구를 기반으로 하여 피평가자인 학습자의 '평가수 행'을 보다 깊이 있게 판단, 측정하기 위한 방법론으로서 내러티브 방 식을 제안하다. 이를 토로 하여 문화 간 의사소통 평가에서 내러 티브 방식을 접목시키기 위한 방안으로서 과정 중심의 평가의 일종인 수행 평가의 적용 가능성을 도출하다.
영문 초록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twork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16-2, 171-197. This study aims to suggest a methodology for the development of an assessment framework and tool for intercultural communication. The following three studies, created by the National Council of State Supervisors for Languages (NCSSFL) and the American Council on the Teaching of Foreign Languages (ACTFL), were examined: (1) “ACTFL Performance Descriptors for Language Learners,” (2) “2017 NCSSFL-ACTFL Can-Do Statements,” and (3) “NCSSFL-ACTFL Can-Do Statements for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ccording to the ACTFL, proficiency benchmarks and performance indicators for ACTFL proficiency level are composed of two facets: “investigate” and “interact.” Next, ”Narrative” as a methodological alternative for measuring the learner’s evaluation performance is presented by considering precedent studies. Thus, this study has developed a process-focused performance assessment that combines the narrative-based assessment for intercultural communication. (Semyung University)
목차
1. 들어가며
2. NCSSFL-ACTFL에서 문화 간 의사소통 평가
3. 내러티브 기반의 수행평가
4. 내러티브 기반의 문화 간 의사소통 평가를 위한 문학 제재 활용
5. 나오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문화 교육을 위한 문학 텍스트 활용 방안에 대한 고찰 - 학습자 및 교수자 요구조사를 바탕으로
- 몸짓 언어에 기반한 한국어 환유 표현의 교육 연구
- 고전시가에 표출된 ‘달’ 이미지 비교를 통한 한국 고전문학사 교육 방법 - 중국인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 한국 문화를 교육하는 교사의 태도와 전문성에 대한 연구 - 학습자의 목적에 따른 한국 문화 교사와의 면담을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 현장에서의 스마트러닝 구현을 위한 스마트 교실응답시스템 활용 방안
- 내러티브 기반의 문화 간 의사소통 평가 연구
- 온라인 한국어교원 양성과정의 현황과 과제 - 학위과정의 한국어교육 실습 교과목의 질 관리를 중심으로
- 아동반 한글학교 교사의 민족 정체성 교육에 대한 실태 조사 연구 - 러시아,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을 중심으로
- 러시아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의 한국어 이중모음 오류 분석 - 음절구조 차이 및 구성원료 이론을 바탕으로
- 대학기관 한국어 교사 역량에 대한 인식
- 중앙아시아 출신 유학생들의 한국어 학습 전략에 대한 연구 - 정부초청외국인 대학원 장학생을 중심으로
- 의사소통능력 개념 변화에 대한 일고 - 서구 이론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