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대학기관 한국어 교사 역량에 대한 인식
이용수 1
- 영문명
- Awareness of the Competencies of Korean Teachers at Affiliated University Institutions
- 발행기관
-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 저자명
- 이미혜(Mihye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언어문화학』제16권 제2호, 231~25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9.08.30
5,6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학기관 한국어 교사의 핵심 역량이 무엇인지, 그 역량에 한 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지를 파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 문 제는 다음의 세 가지이다. 첫째, 학기관 한국어 교사의 핵심 역량은 무엇인가? 둘째, 한국어 교사 역량에 한 교사 집단의 인식 차이는 어 떠한가? 셋째, 한국어 교사 역량 필요도에 한 교사 집단의 인식 차이 는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예비교사 60명, 교사 146명, 관리교사 32명을 상으 로 설문조사를 실시하다. 그 결과, 20개 역량에 한 역량 중요도와 순위를 도출할 수 있었으며 교사 집단 간의 역량에 한 인식 차이를 파악할 수 있었다. 관리교사는 교사보다 각 역량을 더 중요하게 인식 하고 있었다. 특히 학습자와의 소통하는 역량, 동료교사와 협업하는 역량, 기관 귀속감 역량에 한 중요도가 높게 나타났다. 역량 필요도 에 있어서는 교사들이 예비교사들보다 전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즉 교사들은 자신이 각 역량을 더 갖추어야 한다고 인식하는 반면, 예비 교사들은 이러한 인식이 낮아서, 현장의 상황을 충분히 이해하고 있지 못함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twork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16-2, 231-25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competencies for Korean teachers at university institutions, and the teachers’ awareness of these competencies. Three research problems were identified: first, what were the core competencies required to teach Korean at university institutions? Second, what were the differences in the awareness of pre-service teachers, teachers, and supervising teachers? Third, what were the differences in the recognition of pre-service teachers and teachers regarding the need for competencies? During the research, a survey was conducted with 60 pre-service teachers, 146 teachers, and 32 supervising teachers. As a result, the importance and order of priority of 20 competencies were obtained, and the differences in the awareness of the competencies among the teacher groups were identified. The supervising teachers considered each competency more important than the teachers, especially when they had high expectations for communication with students, cooperation with fellow teachers, and a sense of belonging in the institutions. In addition, the teachers thought that they should be better equipped with each of the competencies, while the pre-service teachers lacked such recognition, which indicated that they did not fully understand the circumstances. Based on such results, several significant implications were developed. (Ewha Womans University)
목차
1. 서론
2. 한국어 교사의 역량
3. 대학기관 한국어 교사 역량에 대한 인식 조사
4. 대학기관 한국어 교사 역량에 대한 인식 분석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한국어 문화 교육을 위한 문학 텍스트 활용 방안에 대한 고찰 - 학습자 및 교수자 요구조사를 바탕으로
- 몸짓 언어에 기반한 한국어 환유 표현의 교육 연구
- 고전시가에 표출된 ‘달’ 이미지 비교를 통한 한국 고전문학사 교육 방법 - 중국인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 한국 문화를 교육하는 교사의 태도와 전문성에 대한 연구 - 학습자의 목적에 따른 한국 문화 교사와의 면담을 중심으로
- 한국어교육 현장에서의 스마트러닝 구현을 위한 스마트 교실응답시스템 활용 방안
- 내러티브 기반의 문화 간 의사소통 평가 연구
- 온라인 한국어교원 양성과정의 현황과 과제 - 학위과정의 한국어교육 실습 교과목의 질 관리를 중심으로
- 아동반 한글학교 교사의 민족 정체성 교육에 대한 실태 조사 연구 - 러시아,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을 중심으로
- 러시아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의 한국어 이중모음 오류 분석 - 음절구조 차이 및 구성원료 이론을 바탕으로
- 대학기관 한국어 교사 역량에 대한 인식
- 중앙아시아 출신 유학생들의 한국어 학습 전략에 대한 연구 - 정부초청외국인 대학원 장학생을 중심으로
- 의사소통능력 개념 변화에 대한 일고 - 서구 이론을 중심으로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