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러시아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의 한국어 이중모음 오류 분석 - 음절구조 차이 및 구성원료 이론을 바탕으로

이용수 7

영문명
An Error Analysis of Korean Diphthongs among Russian Learners: Based on Differences in Syllable Structure and Element Theroy
발행기관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저자명
노채환(Chaehwan Roh)
간행물 정보
『한국언어문화학』제16권 제2호, 149~169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8.30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러시아어권 학습자들의 한국어 이중모음 발음에서 발생하는 오류들을 한국어와 러시아어의 음절구조의 차이와 구성원소 이론을 바탕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러시아어권 학습자들에게한국어 이중모음 입력이 주어지면 학습자들은 러시아어의 모음 체계와 음절구조를 바탕으로 이를 재해석하고 조정하여 출력한다. 러시아어는 활음 /j/를 가지고 있어 한국어 /j/계 이중모음 습득에는 큰 어려움을 겪지 않는다. 주목할 만한 오류는 한국어 /w/계 이중모음 발화에서나타난다. 러시아어권 학습자들은 한국어의 /we/를 [e], [ue],[ve]로 발화하는 오류를 보인다. 그리고 이들은 한국어의 /wa/를 [a], [ua], [oa], [va]로, 한국어의 /wə/를 [o], [uo], [uə], [vo]로 발화하는 오류를 보인다. 이들은 각각 활음 탈락, 모음 분리, 자음 대치로 분석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러시아어권 학습자들은 한국어의 /ɨj/를 [i], [ɨ], [ɨi]로 발화하는오류를 보인다. 이는 학습자들이 한국어 /ɨj/의 구조를 받아들이지 못한 것으로 각각 모음 삭제와 모음 분리로 분석할 수 있다.

영문 초록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twork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16-2. 149-169. This paper aims to analyze the errors made by Russian learners in producing Korean diphthongs based on differences in the syllable structures of the two languages and element theory. When Korean diphthongs input is given, Russian learners reanalyze and adjust it based on their internal representation of the Russian vowel system and syllable structure, as reflected in their output. As Russian has a glide /j/, Russian learners do not have much difficulty in producing the /j/ diphthongs of Korean. Notable errors appear, however, in producing /w/ diphthongs of Korean. Russian learners pronounce the Korean diphthong /we/ as [e], [ue], and [ve], /wa/ as [a], [ua], [oa], and [va], and /wɔ/ as [o], [uo], [uə], and [vo]. These errors can be classified as glide deletion, vowel separation, and consonant substitution, respectively. Finally, they produce [i], [ɨ], and [ɨi] for Korean /ɨj/, indicating that they do not grasp the structure of Korean /ɨj/ but realize it through vowel deletion and vowel decomposition.

목차

1. 들어가며
2. 이론적 배경
3. 이중모음 오류 분석
4. 나가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이벤트
  • [윙하단] 열린책들 세계문학
  • 단말기_4월_북꽃축제(우측윙)
01 / 02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