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한국어교육 현장에서의 스마트러닝 구현을 위한 스마트 교실응답시스템 활용 방안

이용수 2

영문명
Implementation of Smart Learning in Korean Education Using the Smart Classroom Response System
발행기관
국제한국언어문화학회
저자명
김은경(Unggyoung Kim)
간행물 정보
『한국언어문화학』제16권 제2호, 93~119쪽, 전체 27쪽
주제분류
사회과학 > 교육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19.08.30
6,04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 교실응답시스템을 한국어교육 현장에 적용하여 스마트러닝을 구현하는 실용적인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있다. 스마트 교실응답시스템이란 교사가 제시하는 문제에 대해 학습자가 답을 선택하여 번호를 누르도록 제작된 교수-학습 도구인 전통적 교실응답시스템을 스마트폰의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 구현한 것을 말한다. 최근 한국어교육의 주대상이 되고 있는 학습자들의 연령층은 10대 후반에서 20대 초중반의 디지털 원주민들(Digital Natives)이다. 이들은컴퓨터와 비디오 게임, 인터넷 등의 디지털 언어를 모어로 구사하는자들(Native speakers of digital language)이다. 이들은 디지털 이주민(Digital Immigrants)인 기존의 학습자 그리고 교사들과 학습 방식에서큰 차이를 보인다 한국어교육 현장에서도 학습자들의 변화를 받아들이고 시대적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 스마트러닝의 구현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이에 대한 구체적인 방안을 모색하고자 스마트 교실응답시스템의 개념과 스마트 교실응답시스템의 기능을 살펴보고 스마트 교실응답시스템의 선정 기준을 제시한 후 스마트 교실응답시스템의 활용 시의 기대 효과에 대해 검토하였다. 또한 스마트교실응답시스템 중 Kahoot을 선정하여 중급 수준의 학문 목적 학습자를 대상으로하는 한국어 읽기 수업에 적용함으로써 스마트 교실응답시스템이 한국어 교수-학습에 활용된 사례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디지털 원주민인 학습자의 특성에 맞는 교수-학습 방식의전환을 모색하여 한국어교육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실용적인 방안을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Network for Korean Language and Culture 16-2, 93-119. This paper suggests a practical way to implement smart learning in Korean language classes: smart classroom response system. A Classroom response system is a pedagogical tool that enables students to use a keypad in order to respond to questions posed in class through the use of a digital presentation. The Smart Classroom Response System is a smartphone-based Classroom Response System. The rapid development of Information Communication Technology(ICT) has changed educational concepts and methods of learning. Korean language learners who are digital natives prefer digital devices such as computers, smartphones, tablets and personal computers to textbooks and lectures. It is necessary to look for an alternative teaching-learning tool that meets learners’ needs. This paper provides an overview of the Smart Classroom Response System, including its definition, functions, selection criteria, and expected pedagogical effectiveness. Further, it proposes a teaching-learning model for intermediate level Korean reading classes using Kahoot, a Smart Classroom Response System tool.(Sangmyung University)

목차

1. 서론
2. 이론적 배경
3. 스마트 교실응답시스템의 활용
4. 스마트 교실응답시스템 활용의 실제
5.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김은경(Unggyoung Kim). (2019).한국어교육 현장에서의 스마트러닝 구현을 위한 스마트 교실응답시스템 활용 방안. 한국언어문화학, 16 (2), 93-119

MLA

김은경(Unggyoung Kim). "한국어교육 현장에서의 스마트러닝 구현을 위한 스마트 교실응답시스템 활용 방안." 한국언어문화학, 16.2(2019): 93-119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