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제주교육학 연구의 방향성 탐색 - 「아름다운 제주특별자치도」에 나타난 ‘제주’ 관련 키워드를 중심으로
이용수 28
- 영문명
- A Exploring the Direction of Research on Jeju Educational Science : Focusing on Keywords Related to ‘Jeju’ that Appeared in ‘Beautiful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 발행기관
- 제주학회
- 저자명
- 김경주(Kyeong-Ju Kim) 문보경(Bo-Kyung Moon)
- 간행물 정보
- 『제주도연구』제62권, 325~361쪽, 전체 3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7,2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제주교육학 연구의 방향성을 탐색하고자 제주의 학교 현장에서 활용되고 있는 지역화 보완교재 「아름다운 제주특별자치도」의 ‘제주’ 관련 키워드를 도출·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현재까지 출간된 「아름다운 제주특별자치도」를 다섯 시기로 구분하였고, 조사가 가능한 교재 중 6권을 선정하여 ‘제주’ 관련 키워드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 및 1997년도 교재(고신택, 1998)에서 ‘제주’ 관련 키워드를 참고하여 1) ‘제주’ 관련 주요 키워드, 2) ‘제주’ 관련 키워드 변화, 3) 영역별 ‘제주’ 관련 키워드 관련 결과를 도출하고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제안한 제주교육학 연구 방향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제주 교육의 현상을 탐구하는 기초적인 연구를 지속적으로 수행해야 한다. 둘째, 제주교육학은 지역의 고유한 내용을 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지역의 교육 내용으로 정선하는 역할을 수행하여야 한다. 셋째, 제주교육학은 제주의 자원을 교육 프로그램 및 콘텐츠화함으로써 지역화 교육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는 제주 교육의 고유성 및 정체성 탐구를 위한 제주교육학 연구의 방향성을 탐색하는 데 의미가 있으며, 제주의 지역화 보완교재 및 교육과정 지역화를 위한 기초데이터로써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sought to explore the direction of research on ‘Jeju Educational Science’. For this purpose, we derived and analyzed keywords related to ‘Jeju’ that appeared in ‘Beautiful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which is used in schools in Jeju. First, ‘Beautiful Jeju Special Self-Governing Province’ was divided into five periods, six textbooks available for research were selected, and keywords related to ‘Jeju’ were collected. By referring to the collected keyword data and the ‘Jeju’-related keywords in the 1997 textbook(Ko Shintaek, 1998), 1) ‘Jeju’-related major keywords, 2) ‘Jeju’-related keyword changes, 3) ‘Jeju’-related keywords by area Relevant results were derived and analysis was conducted.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implications for the direction of research on Jeju Educational Science were suggested. First, basic research that explores the phenomenon of Jeju education must be continuously conducted. Second, Jeju educational science must play the role of selecting the region's unique content as the region's educational content. Third, Jeju educational science must enable localized education to be revitalized by converting Jeju's resources into educational programs and conten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exploring the direction of research on Jeju Educational Science to explore the uniqueness and identity of Jeju education. In addition, it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localization of Jeju's localized complementary teaching materials and localized curriculum.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연구결과
Ⅴ.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제주 돌문화 고찰
- 제주지역 노인의 지역사회 계속거주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 제주 지역 맞벌이 부모의 일-가정 갈등과 우울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
- 제주도의 경제 성장과 지속 가능성 - GRDP의 한계와 GPI를 통한 지속 가능성 평가
- 체류형 관광자의 어메니티 인식과 만족 및 행동의도에 관한 연구 - 제주 체류 한달살기 경험자를 대상으로
- 제주교육학 연구의 방향성 탐색 - 「아름다운 제주특별자치도」에 나타난 ‘제주’ 관련 키워드를 중심으로
- 호랑가시나무 잎 추출물의 항염 및 항산화 활성 비교 분석
- 오키나와의 기지화 과정과 제주4·3, 여수·순천10·19
- 한라산의 신성성(神聖性)에 대한 연구
- 이주-난민의 이동으로서 밀항
- 제주지역 소비자의 가정간편식(HMR) 선택속성이 고객만족과 행동의도(구매의도/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제주 신화 그림책 속에 묘사된 인물 분석
- 제주곶자왈도립공원 이용가치 제고를 위한 방문객 인식 연구 - 중요도-만족도 분석(IPA)의 적용을 통해
- 학술지 『제주도연구』(1984~2023)의 연구동향 분석 - 제주교육학의 관점에서
- ‘해결’ 전야에 4·3연구가 던져야 할 질문들 - 22대 국회 4·3특별법 개정안을 사례로
- 지난 100여 년 동안 한라산 구상나무 숲의 시공간적 분포변화
- 제주도연구 제62권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