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이주-난민의 이동으로서 밀항
이용수 84
- 영문명
- Stowaway as Movement from a Migration-Refugee
- 발행기관
- 제주학회
- 저자명
- 김진선(Jin-Sun Kim)
- 간행물 정보
- 『제주도연구』제62권, 223~24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5,2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이주와 난민을 서로 관계된 공동개념이라는 의미에서 이주-난민을 주제로 다루고 있다. 법과 규정들 자체보다 그것을 해석하고 적용하는데 기반이 되는 인식의 문제를 고민하면서, ‘불법’ 행위지만 이주할 수밖에 없는, 살 곳을 잃은 사람들의 탈주와 귀환으로서 밀항의 의미를 살펴보았다.
이주-난민의 경계를 넘는 이동이 계속되고 있는 유럽에서의 밀항은 단속과 통제의 대상으로 범죄와 연결되고 있다. 이들의 이동을 억제하기 위해 밀항의 불법성과 위험 성을 강조하지만, 경계를 넘는 이동이 계속된다는 사실에서 밀항은 단순히 불법행위로만 규정될 수 없다. 1950년 전후 제주와 일본을 오갔던 제주인들도 경계를 넘는 이동이 제한되면서 삶과 생존을 위해 밀항할 수밖에 없었다. 근현대의 시공간 속에서 계속 되고 있는 밀항은 불법행위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이주-난민의 이동으로서 그 이동을 둘러싸고 작동하는 권력과 자본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is paper addresses the concept of migration-refugee as an interconnected notion, addressing the relationship between migration and refugees. It delves into the perception issue, which underlies the interpretation and application of laws and regulations, rather than focusing solely on the legal frameworks. Although it is an “illegal” act, we reviewed the meaning of stowaway as an escape and return for those who have no choice but to migrate and have lost their place to live.
In Europe, where cross-border movements of migration-refugee persist, stowaway acts are connected to crime and targeted for crackdowns and control. Although the illegality and hazard of stowaways are emphasized to curb their movement, stowaways cannot be defined simply as illegal activities in that movement across boundaries. The Jeju people, who crossed borders between Jeju and Japan around 1950, were similarly forced into stowaway activities for survival due to restrictions on their mobility. Stowaway practices, which have persisted across modern and contemporary times and spaces, extend beyond mere illegal acts; as a form of migration-refugee movement, they provide a critical view of the power and capital operating within this mobility.
목차
Ⅰ. 머리말
Ⅱ. ‘이주-난민’으로 보기
Ⅲ. 난민과 법 해석의 문제
Ⅳ. 유럽의 경계를 넘는 밀항
Ⅴ. 제주와 일본의 밀항과 4.3
Ⅵ. 맺음말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제주 돌문화 고찰
- 제주지역 노인의 지역사회 계속거주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 제주 지역 맞벌이 부모의 일-가정 갈등과 우울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
- 제주도의 경제 성장과 지속 가능성 - GRDP의 한계와 GPI를 통한 지속 가능성 평가
- 체류형 관광자의 어메니티 인식과 만족 및 행동의도에 관한 연구 - 제주 체류 한달살기 경험자를 대상으로
- 제주교육학 연구의 방향성 탐색 - 「아름다운 제주특별자치도」에 나타난 ‘제주’ 관련 키워드를 중심으로
- 호랑가시나무 잎 추출물의 항염 및 항산화 활성 비교 분석
- 오키나와의 기지화 과정과 제주4·3, 여수·순천10·19
- 한라산의 신성성(神聖性)에 대한 연구
- 이주-난민의 이동으로서 밀항
- 제주지역 소비자의 가정간편식(HMR) 선택속성이 고객만족과 행동의도(구매의도/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제주 신화 그림책 속에 묘사된 인물 분석
- 제주곶자왈도립공원 이용가치 제고를 위한 방문객 인식 연구 - 중요도-만족도 분석(IPA)의 적용을 통해
- 학술지 『제주도연구』(1984~2023)의 연구동향 분석 - 제주교육학의 관점에서
- ‘해결’ 전야에 4·3연구가 던져야 할 질문들 - 22대 국회 4·3특별법 개정안을 사례로
- 지난 100여 년 동안 한라산 구상나무 숲의 시공간적 분포변화
- 제주도연구 제62권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