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제주 돌문화 고찰
이용수 26
- 영문명
- Considerations of Jeju’s Stone Culture
- 발행기관
- 제주학회
- 저자명
- 좌혜경(Hye-Kyung Choa)
- 간행물 정보
- 『제주도연구』제62권, 1~19쪽, 전체 1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5,08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는 구비전승인 전설이나 민요, 생활문화인 도구와 돌담, 유적이나 민간신앙 속에 드러나는 돌에 대한 인식과 가치, 기능에 대해 고찰했다.
신앙이나 풍수 전설에서 돌은 신성성을 띠거나 숭배, 방사(防邪) 적인 기능을 하고, 인물 전설에서는 여성들의 지조나 열, 내재화된 잠재적 힘으로 인식되었다.
민요에서는 제재로 차용하거나 비유의 대상으로 삼아 무생물로서 견고(堅固)와 우둔(愚鈍)을 나타내기도 한다.
생활문화로서 도구는 돌의 강한 마찰력과, 물에 강하고 불에 안전한 점을 인식했다. ‘밭담’은 소유자 지정과 경계, 토지이용의 과학성을 인식하고, 어로용 담으로 원담, 불턱담, 포구담에는 협업에 대한 의지가 반영되고 있다.
역사 유적의 돌은 우마 육성의 목적인 ‘잣성’, 행정 구분으로서의 읍성만이 아니라 진성이나 환해장성, 연대, 봉수는 외적의 침입을 막는 섬 지키기 방어 수단이다. 민간이 신앙하는 돌인 ‘돌미륵’이나 ‘불탑’은 아들을 낳기 위한 기자(祈子)와 양육, 치병을 기원하는 대상이었다.
영문 초록
Jeju stone culture is a representative culture of the Jeju people, reflecting their perception of stones symbolized through their life experiences.
In religious legends or geomantic tales, stones possess sacredness or function as objects of taboo and exorcism. In natural legends, stones as megaliths symbolize the tragedies of Jeju people's lives. In human legends, stones emphasize women's chastity and virtue.
In folk songs, stones are borrowed or used as metaphors to express thoughts and emotions. As inanimate objects, stones represent solidity and dullness, and the metaphorical emotions are firmly pessimistic.
Stone tools take advantage of strong friction, water resistance, and fire safety. In agriculture, the batdam (farmland stone walls) signifies the recognition of ownership and a boundary.
As historical relics, stone structures like jatseong for raising livestock highlight the entire island as a national ranch.
In folk beliefs, stones are worshiped and prayed to, with examples like dolmireuk (stone Maitreya) or bultap (stone pagoda) being objects of devotion for the desire to bear and raise children and for healing illness.
목차
Ⅰ. 서언
Ⅱ. 구비전승에 나타난 돌
Ⅲ. 생활문화에서의 돌
Ⅳ. 유적으로서의 돌
Ⅴ. 결어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제주 돌문화 고찰
- 제주지역 노인의 지역사회 계속거주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 제주 지역 맞벌이 부모의 일-가정 갈등과 우울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
- 제주도의 경제 성장과 지속 가능성 - GRDP의 한계와 GPI를 통한 지속 가능성 평가
- 체류형 관광자의 어메니티 인식과 만족 및 행동의도에 관한 연구 - 제주 체류 한달살기 경험자를 대상으로
- 제주교육학 연구의 방향성 탐색 - 「아름다운 제주특별자치도」에 나타난 ‘제주’ 관련 키워드를 중심으로
- 호랑가시나무 잎 추출물의 항염 및 항산화 활성 비교 분석
- 오키나와의 기지화 과정과 제주4·3, 여수·순천10·19
- 한라산의 신성성(神聖性)에 대한 연구
- 이주-난민의 이동으로서 밀항
- 제주지역 소비자의 가정간편식(HMR) 선택속성이 고객만족과 행동의도(구매의도/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제주 신화 그림책 속에 묘사된 인물 분석
- 제주곶자왈도립공원 이용가치 제고를 위한 방문객 인식 연구 - 중요도-만족도 분석(IPA)의 적용을 통해
- 학술지 『제주도연구』(1984~2023)의 연구동향 분석 - 제주교육학의 관점에서
- ‘해결’ 전야에 4·3연구가 던져야 할 질문들 - 22대 국회 4·3특별법 개정안을 사례로
- 지난 100여 년 동안 한라산 구상나무 숲의 시공간적 분포변화
- 제주도연구 제62권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