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제주도의 경제 성장과 지속 가능성 - GRDP의 한계와 GPI를 통한 지속 가능성 평가
이용수 41
- 영문명
- Economic Growth and Sustainability in Jeju Island : Limitations of GRDP and Sustainability Assessment through GPI
- 발행기관
- 제주학회
- 저자명
- 김경아(Gyeong-A Kim)
- 간행물 정보
- 『제주도연구』제62권, 197~221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지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8.31
5,8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제주도의 참발전지수(GPI)를 분석하여 경제, 환경, 사회적 측면을 포괄한 종합적인 발전 수준을 평가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000년부터 2021년까지의 제주도의 GPI를 산출하여, GRDP와 GPI의 변화 추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GRDP는 대체로 증가하는 반면, GPI는 일정 시점에서 감소하거나 정체되는 양상을 보였다. 특히 2019년 이후 COVID-19 팬데믹의 영향으로 관광 수입이 감소하면서 GRDP가 하락했으나, GPI는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관광객 감소가 환경 부담을 줄이고 자연 자원의 회복을 촉진한 결과이며, 이러한 효과는 GPI에 장기간에 걸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본 연구는 GRDP를 보완한 지표로서 GPI를 활용하여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정책 지표로 사용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evaluate the comprehensive development level of Jeju Island by analyzing the Genuine Progress Indicator (GPI) across economic, environmental, and social dimensions. To achieve this, the GPI for Jeju Island was calculated for the years 2000 to 2021, and the trends in GRDP and GPI were comparatively analyzed. The results showed that while GRDP generally increased, GPI exhibited periods of decline or stagnation at certain points. Notably, since 2019, the COVID-19 pandemic led to a decrease in tourism revenue, resulting in a decline in GRDP, whereas GPI showed an upward trend. This trend can be attributed to the reduction in environmental pressures and the recovery of natural resources due to the decrease in tourist numbers, and such effects may have a long-term impact on GPI. This study suggests that GPI, as a complementary indicator to GRDP, can be effectively utilized as a policy tool for promoting sustainable development.
목차
Ⅰ. 서론
Ⅱ. 이론 및 선행연구 검토
Ⅲ. 제주도 참발전지수(GPI) 분석
Ⅳ.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제주 돌문화 고찰
- 제주지역 노인의 지역사회 계속거주에 미치는 영향요인 연구
- 제주 지역 맞벌이 부모의 일-가정 갈등과 우울의 관계에서 마음챙김의 매개효과
- 제주도의 경제 성장과 지속 가능성 - GRDP의 한계와 GPI를 통한 지속 가능성 평가
- 체류형 관광자의 어메니티 인식과 만족 및 행동의도에 관한 연구 - 제주 체류 한달살기 경험자를 대상으로
- 제주교육학 연구의 방향성 탐색 - 「아름다운 제주특별자치도」에 나타난 ‘제주’ 관련 키워드를 중심으로
- 호랑가시나무 잎 추출물의 항염 및 항산화 활성 비교 분석
- 오키나와의 기지화 과정과 제주4·3, 여수·순천10·19
- 한라산의 신성성(神聖性)에 대한 연구
- 이주-난민의 이동으로서 밀항
- 제주지역 소비자의 가정간편식(HMR) 선택속성이 고객만족과 행동의도(구매의도/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
- 제주 신화 그림책 속에 묘사된 인물 분석
- 제주곶자왈도립공원 이용가치 제고를 위한 방문객 인식 연구 - 중요도-만족도 분석(IPA)의 적용을 통해
- 학술지 『제주도연구』(1984~2023)의 연구동향 분석 - 제주교육학의 관점에서
- ‘해결’ 전야에 4·3연구가 던져야 할 질문들 - 22대 국회 4·3특별법 개정안을 사례로
- 지난 100여 년 동안 한라산 구상나무 숲의 시공간적 분포변화
- 제주도연구 제62권 목차
참고문헌
관련논문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