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그것이 알고 싶다>의 제목 특성 연구
이용수 24
- 영문명
- A Study on the Title Type of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 K-컬처·스토리콘텐츠연구소
- 저자명
- 박현선(Hyun-Sun Park)
- 간행물 정보
- 『스토리콘텐츠』5집, 223~239쪽, 전체 17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7.31
4,84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이 연구는 <그것이 알고 싶다> 프로그램의 제목 특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목은 콘텐츠의 안내 역할을 할 뿐만 아니라, 시청자들과의 상호작용을 유도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유튜브에서는 섬네일 이미지와 정보가 담긴 제목을 통해 이용자들의 시선을 끌고 시청을 유도한다. 제목은 이용자들의 시청 여부 결정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콘텐츠 선택에 큰 영향을 미친다. 제목에 따라 시청자의 관점이 바뀔 수 있으며, 반응에도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 연구에서는 유튜브에 업로드된 <그것이 알고 싶다>의 각 에피소드 제목을 분석대상으로 하여, 제목의 유형과 특성을 살펴보았다. 이 연구에서는 TV 프로그램을 요약한 ‘짧은 그알’의 섬네일 자막과 제목을 TV 프로그램의 제목과 비교하여 그 특징을 분석했다.
먼저 섬네일 자막의 유형을 분석한 결과, 섬네일 자막은 짧은 길이를 가지고 있으며, 높은 가독성을 추구하면서도 영상의 내용을 담고 있었다. 반면, 유튜브 영상의 제목은 섬네일 자막에 비해 길고 구체적이며, 시청자의 흥미와 호기심을 자극하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었다. 제목은 정보 전달, 관심 유도, 의문 유발, 상호작용 등의 기능을 한다. 가장 많이 쓰인 어휘는 '진실'로, 이는 <그알>의 정체성을 드러낸다.
<그알>의 제목 분석을 통해, 제목은 콘텐츠에 대한 요약 정보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섬네일에 담기지 않은 추가적인 정보를 제공하며 이용자와의 상호작용을 유도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itles of the TV program . Titles not only guide the content but also play a crucial role in engaging with viewers. On YouTube, thumbnail images and informative titles attract viewers' attention and encourage them to watch. Titles significantly influence viewers' decisions and have a major impact on content selection. Depending on the title, viewers' perspectives can change, affecting their reactions.
This paper focuses on analyzing the titles of each episode of uploaded to YouTube, comparing them with the titles of the TV program to examine their types and characteristics. The study also compares the thumbnail captions and titles of the condensed “Short the unanswered questions” episodes with the original TV program titles to analyze their features. Titles significantly influence users' content selection and attract viewers.
First, an analysis of the thumbnail captions revealed that they are short, highly readable, and encapsulate the video's content. In contrast, the YouTube video titles are longer and more detailed, aiming to pique viewers' interest and curiosity. Titles serve to convey information, attract attention, provoke questions, and facilitate interaction. The most frequently used word in the titles is “truth,” reflecting the identity of .
Through the analysis of titles, it was found that titles play a crucial role not only in summarizing content but also in providing additional information not included in the thumbnails, thereby enabling interaction with users.
목차
Ⅰ. 서론
Ⅱ. 연구 대상
Ⅲ. <그알> 섬네일 자막의 특징
Ⅳ. <그알> 제목의 특징
Ⅴ.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스토리콘텐츠 5집 목차
- 인공지능 문학의 가능성과 한계에 대한 연구
-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 역사 영상 콘텐츠 문법 연구
- 콘텐츠 액티비즘의 이론적 탐색
- 연대의 관점으로 바라본 <아기장수전설>의 현대적 활용 양상과 의미
- 다문화주의의 관점에서 본 SF 게임 속 포스트휴먼
- 웹 콘텐츠 닷 페이스(Dot Face)의 액티비즘(Activism) 전개 방식
- ‘김광석다시그리기길’의 장소적 의미 고찰
- 역사문화콘텐츠의 놀이적 특성 연구
- 1950~60년대 문화영화 애니메이션 연구
- 명론(命論)을 활용한 영화 <관상> 분석
- 아브젝트 개념으로 접근한 ‘무진’이라는 공간의 상징성
- <그것이 알고 싶다>의 제목 특성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NEW
- Really, Is it just “Backwards”?—Reevaluating Adorno's Multifaceted Analysis of Stravinsky
- Artistic Innovation:The Construction of Virtual Spaces in 2D Fantasy Films
- Research on the Application of Landscape Installation of New Media Art in Qingdao Urban Public Space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