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역사문화콘텐츠의 놀이적 특성 연구

이용수 62

영문명
A Study on the Playful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 Cultural Contents in Jeonju Hanok Village
발행기관
경희대학교 K-컬처·스토리콘텐츠연구소
저자명
정나은(Na-Un Jung)
간행물 정보
『스토리콘텐츠』5집, 87~107쪽, 전체 21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7.31
5,32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전주한옥마을의 사례를 통해 역사문화콘텐츠의 놀이적 특성을 살펴보는 것에 있다. 놀이적 특성을 고려한 역사문화자원의 콘텐츠화 방안 논의 과정에서 역사문화콘텐츠의 놀이적 특성과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고에서는 역사문화콘텐츠의 핵심적인 놀이적 특성을 재미성, 허구성, 비일상성의 세 가지로 제시하였으며, 전주한옥마을 사례를 통해 역사문화자원의 문화유산 요소와 이야기 요소, 그리고 이를 소재로 만든 역사문화콘텐츠의 놀이적 특성을 고찰하였다. 사례 연구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현장 답사, 참여 관찰, 온라인 리뷰 연구 등의 질적연구 방법을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 전주한옥마을의 핵심적인 역사문화자원인 경기전과 전동성당을 직접적으로 활용한 공간형 콘텐츠는 비일상성을 제공하는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으며, 간접적으로 활용한 의·식·주 및 이벤트 콘텐츠 등은 재미성과 허구성을 제공 또는 강화하는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역사문화콘텐츠의 놀이적 특성은 방문자의 체험이 발생할 때 복합적으로 드러나는 경향이 있었다. 논의에 따른 연구의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놀이 대상으로서 역사문화콘텐츠를 기획하기 위해서는 역사문화자원을 문화유산 요소와 이야기 요소의 두 가지 측면에서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형태의 역사문화콘텐츠를 기획할 필요가 있다. 둘째, 놀이적 특성을 지닌 역사문화콘텐츠는 역사문화자원 요소의 직접 활용 방식과 간접 활용 방식의 두 가지 방식을 통해 기획 및 개발할 수 있다. 셋째, 발전적이고 확장적인 성격을 지닌 역사문화콘텐츠를 기획하기 위해서는 역사문화콘텐츠를 중심으로 다양한 놀이 활동이 발생하도록 하여 방문자들 스스로가 새로운 콘텐츠를 생산 및 공유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layful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cultural contents through the case of Jeonju Hanok Village.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playful traits and implications in the planning of historical-cultural contents for cultural cities. This paper identifies the core playful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cultural contents as fun, fictionality, and non-dailiness. For the case study of Jeonju Hanok Village,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such as field visits, participant observation, and online review analysis were employed. The research revealed that spatial contents directly utilizing key historicalcultural resources, such as Gyeonggijeon Shrine and Jeondong Cathedral, plays a crucial role in providing non-dailiness, while contents indirectly utilizing historical-cultural resources, such as clothing, food, housing, and events enhances or provides fun and fictionality. These playful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s tend to manifest complexly during visitor experiences. The implicat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o plan and create historical-cultural contents as a playful entity, it is necessary to examine historical-cultural resources from the perspectives of cultural heritage elements and narrative elements. Second, historicalcultural content with playful characteristics can be planned and created through two approaches: direct utilization of historical-cultural resource elements and indirect utilization. Third, to plan and create progressive and expansive historical-cultural contents, it is essential to create an environment where various playful activities centered around historical-cultural contents can occur, allowing visitors to produce and share new contents themselves.

목차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사례 연구
Ⅳ. 종합 및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정나은(Na-Un Jung). (2024).역사문화콘텐츠의 놀이적 특성 연구. 스토리콘텐츠, (), 87-107

MLA

정나은(Na-Un Jung). "역사문화콘텐츠의 놀이적 특성 연구." 스토리콘텐츠, (2024): 87-107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