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연대의 관점으로 바라본 <아기장수전설>의 현대적 활용 양상과 의미
이용수 84
- 영문명
- The Modern Utilization Aspect and Meaning of
: Focusing on the webtoon and the drama - 발행기관
- 경희대학교 K-컬처·스토리콘텐츠연구소
- 저자명
- 조리라(Lee-Ra Jo)
- 간행물 정보
- 『스토리콘텐츠』5집, 71~8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24.07.31
4,6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아기장수전설>은 광포 전설로, 우리나라 각지에서 다양한 형태로 전승되고 있는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전설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웹툰 <무빙>과 드라마 <역적:백성을 훔친 도적>을 중심으로, <아기장수전설>의 현대적 활용 양상을 살펴보았다.
웹툰 <무빙>과 드라마 <역적:백성을 훔친 도적>에는 아기장수 유형의 인물들이 등장하여 서사를 주도한다. 이때 작품에 등장하는 아기장수들 중 주인공 격인 인물을 보면, 전설 속 아기장수와는 다른 결말을 맞이한다. 웹툰 <무빙>에서는 가족들의 보호 아래 아기장수 유형의 인물이 바르게 성장하였으며, 이들은 연대를 통해 평화로운 사회 구현 및 자신의 의지에 따른 주체적인 삶을 개척해나가는 양상을 보인다. 그리고 드라마 <역적>은 시·공간적 배경 및 사회적 상황이 <아기장수전설>과 유사할 것으로 여겨지는 설정임에도 불구하고 아기장수가 가족들의 보호 하에 건강히 성장하였으며, 민중들과의 연대를 기반으로 지배 체제에 대한 항거에 성공하는 장면을 그려보다 큰 전복적 효과를 야기하였다.
이처럼 <아기장수전설>의 현대적 활용 작품은 원전과는 다른 결말을 그리고 있으며, 이처럼 성공적이고 긍정적인 결말은 사람들 간의 연대와 가족애를 통해 실현되었음을 이야기하며 현대인들에게도 중요한 연대의 가치와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목차
Ⅰ. 들어가는 말
Ⅱ. <아기장수전설>의 현대적 활용 양상
Ⅲ. <아기장수전설>의 현대적 활용 작품의 의미 : 연대의 힘
Ⅳ. 나오는 말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스토리콘텐츠 5집 목차
- 인공지능 문학의 가능성과 한계에 대한 연구
- 외국인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한국 역사 영상 콘텐츠 문법 연구
- 콘텐츠 액티비즘의 이론적 탐색
- 연대의 관점으로 바라본 <아기장수전설>의 현대적 활용 양상과 의미
- 다문화주의의 관점에서 본 SF 게임 속 포스트휴먼
- 웹 콘텐츠 닷 페이스(Dot Face)의 액티비즘(Activism) 전개 방식
- ‘김광석다시그리기길’의 장소적 의미 고찰
- 역사문화콘텐츠의 놀이적 특성 연구
- 1950~60년대 문화영화 애니메이션 연구
- 명론(命論)을 활용한 영화 <관상> 분석
- 아브젝트 개념으로 접근한 ‘무진’이라는 공간의 상징성
- <그것이 알고 싶다>의 제목 특성 연구
참고문헌
관련논문
인문학 > 기타인문학분야 NEW
- Really, Is it just “Backwards”?—Reevaluating Adorno's Multifaceted Analysis of Stravinsky
- Artistic Innovation:The Construction of Virtual Spaces in 2D Fantasy Films
- Research on the Application of Landscape Installation of New Media Art in Qingdao Urban Public Space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