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추천 검색어

실시간 인기 검색어

학술논문

아브젝트 개념으로 접근한 ‘무진’이라는 공간의 상징성

이용수 42

영문명
The Symbolism of the Space 'Mu-jin' Approached through the Concept of the Abject
발행기관
경희대학교 K-컬처·스토리콘텐츠연구소
저자명
최재은(Jae-Eum Choi)
간행물 정보
『스토리콘텐츠』5집, 193~205쪽, 전체 13쪽
주제분류
인문학 > 기타인문학
파일형태
PDF
발행일자
2024.07.31
4,360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1:1 문의
논문 표지

국문 초록

김승옥의 「무진기행」은 그의 많은 작품들 중 영화화까지 되었을 정도로 성공한 작품이다. 이와 함께 「무진기행」은 그의 작품 중 활발하게 논의가 되고 있기도 하다. 그 안에서 ‘무진’이라는 공간이 가진 독특함과 환상성으로 인해 해당 공간이 가지고 있는 상징에 대한 연구 또한 다양하게 이루어져왔다. 특히 주목할 만한 것은, 「무진기행」은 제목에 ‘기행’이라는 단어가 단서처럼 붙어있으나 기존의 여로형 소설과는 다른 형식을 보여준다는 것이다. 이에 대하여 ‘무진’이라는 공간은 현실에 존재하는 공간이 아니며 서울과 대립되는 일종의 상징적인 공간으로 의미를 가진다는 연구들도 존재한다. 이들 중 주목할 만한 것은 라캉의 상상계와 상징계의 개념을 차용한 연구이다. 이들 연구는 ‘무진’과 대립되는 실재하는 공간인 ‘서울’을 상징계로 이와 대립되는 공간인 ‘무진’을 상상계 혹은 실재계로 분석한다. 본고에서는 이러한 두 관점을 수용하여, ‘무진’과 대립항으로 존재하는 ‘서울’을 상징계로 상정할 것이다. 그러나 ‘무진’이라는 공간의 특성에 대해서는 라캉의 상상계와 실재계의 개념만으로는 수용할 수 없는 부분이 있다. 그리하여 라캉의 연구를 여성적인 관점으로 확장하고 재해석한 크리스테바의 개념을 차용하여, 무진을 ‘서울’이라는 상징계와 대립항에 놓여있는 일종의 아브젝트들이 모인 ‘기호계’로 제시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Kim Seung-ok's “Record of a Journey to Mujin” is a successful work to the extent that it has been adapted into a film among his many works. Along with this, “Record of a Journey to Mujin” is actively discussed among his works. Within it, variou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the symbolism of the space due to the uniqueness and imaginative nature of the space called 'Mu-jin.' Particularly noteworthy is that although the title of Record of a Journey to Mujin” includes the word 'journey' as a clue, it shows a different form from conventional travel novels. There are also studies suggesting that the space called 'Mu-jin' is not a space existing in reality but holds symbolic significance as a space that contrasts with Seoul. Among these, noteworthy are studies that adopt Lacan's concepts of the imaginary and symbolic orders. These studies analyze 'Mu-jin' as an imaginary or real space contrasting with 'Seoul,' an existing space symbolized by the symbolic order. In this paper, adopting these two perspectives, we will posit 'Seoul,' existing in contrast to 'Mu-jin,' as the symbolic order. However, there are aspects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space called 'Mu-jin' that cannot be accommodated solely by Lacan's concepts of the imaginary and real orders. Therefore, by expanding and reinterpreting Lacan's studies from a feminine perspective, adopting Kristeva's concept, we aim to present 'Mu-jin' as a gathering of abjects placed in opposition to 'Seoul,' symbolized as a symbolic order, forming a 'semiotic system.'

목차

Ⅰ. 들어가며
Ⅱ. 의식적 공간으로서의 무진
Ⅲ. 추방된 것들의 공간 무진
Ⅳ. 나가며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교보e캐시 1,000원
TOP
인용하기
APA

최재은(Jae-Eum Choi). (2024).아브젝트 개념으로 접근한 ‘무진’이라는 공간의 상징성. 스토리콘텐츠, (), 193-205

MLA

최재은(Jae-Eum Choi). "아브젝트 개념으로 접근한 ‘무진’이라는 공간의 상징성." 스토리콘텐츠, (2024): 193-205

결제완료
e캐시 원 결제 계속 하시겠습니까?
교보 e캐시 간편 결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