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결혼이주여성의 개인배경특성, 원가족건강성, 정신건강이 결혼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이용수 2
- 영문명
- A Study on Married Immigrant Women's Health of Family-of-Origin, Mental Health, and Marital Stability
- 발행기관
-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 저자명
- 이성희(Sung-Hee Lee) 김현수(Hyeon-Su Kim) 조성경(Sung-Kyoung Cho)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족복지학』Vol.17 No.3, 167~189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9.30
5,56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결혼이주여성의 개인배경, 원가족건강성, 정신건강 변인과 결혼안정성과의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결혼이주여성의 안정적인 결혼생활 한국생활 적응 지원을 위한 기초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본 연구대상은 전라북도지역의 다문화가족지원센터를 이용하는 결혼이주여성으로 한국어 인식이 가능한 여성들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 방법으로 실시되었다. 자료분석은 빈도분석,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검증, ANOVA, 위계적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ANOVA는 사후검증을 위해 Duncan Test를 실시하였으며, 신뢰도 검증을 위하여 Cronbach's α값을 산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결혼이주여성의 원가족건강성, 정신건강, 결혼안정성의 전반적 경향은 평균이상의점수 분포로 나타났다. 그러나 정신건강은 하위요인별 차이가 있었는데, 불안·우울감이 사회부적응감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점수를 보이고 있어, 결혼이주여성의 정서적 지원이 좀 더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둘째, 개인배경변인에 따른 결혼안정성은 한국문화수용도가 분명한 경우, 월소득수준이 높은 경우 결혼안정성이 높게 나타나 집단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개인배경특성, 원가족건강성, 정신건강이 결혼안정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위계적 회귀분석 결과, 종교가 있는 경우, 직업이 없는 경우, 한국문화를 수용할수록, 원가족건강성이 높을수록, 정신건강 수준이 높을수록 결혼안정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 중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원가족건강성이었다. 이의 결과는 결혼이주여성의 결혼적응을 높이기 위해서는 문화적 수용도 및 개인적 성장을 위한 교육이나 상담진행시, 결혼이주여성의 원가족 문제를 다룰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는 것이라 하겠다.
영문 초록
This study aimed to get the basic data for supporting married immigrant women’s stable marriage life and adapting to life in Korea by examining the relationships among the married immigrant women’s personal background, health of family-of-origin, psychological health variables and marital stability. The study subjects were married immigrant women whoseek the services of multicultural family support centers in the Jeollabuk-do reg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health of the family-of-origin, the mental health, the marital stability and general tendencies of these women were revealed to possess a higher than average score. Nevertheless,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sub-elements in that scores in anxiety and depression were relatively lower than those in the sense of an inability to adjust to society. This result suggests that the married immigrant women need additional emotional support. Second, as for marriage stability according to personal background variables, marital stability was high when the monthly income was high and when the degree of accepting Korean culture was distinct. Third, the results of the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on the influences of the personal background variable, family-of-origin health, and psychological health on marital stability showed that marital stability was high when the women followed a religion, were unemployed, and accepted Korean culture, and when their level of psychological health was high as well as the health of their family-of-origin. The variable that had the most significant influence was the health of the woman's family-of-origin. Such results suggest that in order to increase the marriage adaptation of married immigrant women, it is necessary to address married immigrant women’s family-of-origin problems when conducting education or consulting for the degree of cultural acceptance and personal growth.
목차
Ⅰ. 서 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문제 및 방법
Ⅳ. 연구결과
Ⅴ.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결혼이주여성의 개인배경특성, 원가족건강성, 정신건강이 결혼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 아동의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에 따른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과보호와 아동의 문제행동과의 관계
- 아버지 역할지능에 대한 양육신념 및 자녀기대감의 영향
- 다문화가족지원서비스가 결혼이주여성의 결혼생활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자원봉사여성이 양로시설노인으로부터 경험한 폭력에 관한 연구
- 중년과 노년의 성공적 노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비교 연구
- 국제결혼한 한국남성의 가족스트레스, 부정적 정서와 사회부적응
- 미혼여성의 결혼과 가족에 대한 가치관이 결혼의향과 기대결혼연령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장애인 1인 가구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정신장애인의 클럽하우스 이용 경험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성인 중증장애인의 재난안전교육 경험 변화와 재난대응수행 변화와의 관계 : 사회관계망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