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자원봉사여성이 양로시설노인으로부터 경험한 폭력에 관한 연구
이용수 0
- 영문명
- A Study on Elderly Residents' Violence Experienced by Female Volunteer Workers in Retirement Living Facilities
- 발행기관
- 한국아동가족복지학회
- 저자명
- 이인수(In-Soo Lee) 김지현(Ji-Hyun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가족복지학』Vol.17 No.3, 55~84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9.30
6,400원
구매일시로부터 72시간 이내에 다운로드 가능합니다.
이 학술논문 정보는 (주)교보문고와 각 발행기관 사이에 저작물 이용 계약이 체결된 것으로, 교보문고를 통해 제공되고 있습니다.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3개 양로시설을 방문하여 8명의 30-50대 여성자원봉사자를 대상으로 직접면담에 의해 노인으로부터 경험한 언어 및 신체적 폭력은 어떤 것이 있으며, 이러한 상황은 결국 봉사자들의 노인수발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 조사하였다. 연구결과, 젊은 연령층도 포함되는 종합사회복지시설에 비해 폭력의 심화성은 적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여성의 민감한 부분을 만지거나 움켜쥐는 등 성적모욕감을 주는 행위를 경험한 비율에 있어 약한 폭력은 62.2%, 심한 폭력은 37.5%가 한번 이상 경험한 것으로 나타나 충격을 주고 있다. 그리고 자제력 저하로 인해 노인들간 작은 언쟁이 생긴 후 주위에 말리는 봉사자들이 모여들면서 자신의 정당성을 입증하지 못하면 낙인이 찍힌다는 강박감이 생기고 화풀이 할 대상이 많아졌다는 자신감으로 폭력적 언행으로 발전되는 경우가 나타나며 시설노인과 봉사여성이 1:1 결연을 맺어 딸이라 부르고 유사가족으로 인식되는 봉사자와 그렇지 않은 봉사자를 구분하여 적대시하면서 불미스런 일이 발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완책으로서 자원봉사전 오리엔테이션을 통해 폭력경험 봉사자의 대처경험을 듣게 하고 좌절보다는 긍정적 자세로 봉사에 임하도록 하는 방안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문제행동 노인들은 사회복지사가 주기적으로 행동변화를 관찰하고 상담하며, 폭력적 행동을 했을 경우 우범행위라는 점을 명확히 경고하고 재발시 외출이나 프로그램 참여를 제한하는 등, 노인들에게도 폭력행동에 따른 엄중한 책임이 돌아오도록 하는 조치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women volunteers' experiences of violence from retirement facility residents in Korea. In this study, 8 female volunteers aging 37 to 52 in three facilities were asked about their experiences of being victims of elderly residents' emotional and physical violences as well as their reactions. It was observed that most subjects had experienced various types of emotional and physical violence such as been assaulted repetitious and unreasonable curse words and had items thrown at them. but the situation was aggravated when the volunteers gathered to watch the violence. In this study, it is proposed that education for volunteers who may be confronted with residents' abrupt behavior problems should be emphasized for those who are susceptible to emotional harassment resulting from the problem behaviors when the volunteers were with their children or husbands in the volunteer sites. Finally, it is also suggested that a combination of leisure activities for healthy residents and intimate care services for frail residents be systematically implemented in order to reduce high incidence of aggressive behaviors targeting young and sexually attractive females.
목차
Ⅰ. 서 론
Ⅱ. 선행연구 고찰
Ⅲ. 연구방법
Ⅳ. 결과 및 고찰
Ⅴ. 논의 및 제언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 결혼이주여성의 개인배경특성, 원가족건강성, 정신건강이 결혼안정성에 미치는 영향
- 아동의 에니어그램 성격유형에 따른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과보호와 아동의 문제행동과의 관계
- 아버지 역할지능에 대한 양육신념 및 자녀기대감의 영향
- 다문화가족지원서비스가 결혼이주여성의 결혼생활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 자원봉사여성이 양로시설노인으로부터 경험한 폭력에 관한 연구
- 중년과 노년의 성공적 노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비교 연구
- 국제결혼한 한국남성의 가족스트레스, 부정적 정서와 사회부적응
- 미혼여성의 결혼과 가족에 대한 가치관이 결혼의향과 기대결혼연령에 미치는 영향
참고문헌
관련논문
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BEST
더보기사회과학 > 사회복지학분야 NEW
- 장애인 1인 가구의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요인 :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정신장애인의 클럽하우스 이용 경험에 관한 개념도 연구
- 성인 중증장애인의 재난안전교육 경험 변화와 재난대응수행 변화와의 관계 : 사회관계망의 조절효과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